1월 26일부터 2월 1일까지 일주일간 디센트럴랜드는 39회, 더샌드박스는 2회 언급됐다.
디센트럴랜드의 이미지는 긍정 42%, 부정 58%, 중립 0%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아름다움’, ‘상승세 보이다’, ‘쉽다’, ‘괜찮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부진’, ‘가치 없다’, ‘낮은 수준’, ‘믿지 못하다’, ‘가격 오르다’가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더샌드박스의 이미지는 긍정 100%, 부정 0%,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새로운 기능’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과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디센트럴랜드·더샌드박스 관련 주요 이슈 디센트럴랜드는 1월 26일(현지 시각), 디센트럴랜드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의 최신 프로젝트이자 MMORPG 게임인 윌더니스 P2E(Wilderness P2E)를 공개했다. 윌더니스 P2E는 2021년 12월, 현재 디센트럴랜드의 CEO인 네하 싱(Neha Singh)과 현 디센트럴랜드 CTO인 라이언 팔(Ryan Pal)이 엔지니어링 학부 졸업생 신분으로 공개한 P2E 게임이다. 해당 게임은 지난해 11월, 디센트럴랜드 DAO에서 투표 참여자 92%의 지지를 받아, 프로젝트 범위를 확장하게 되었다.
윌더니스 P2E는 판타지와 미스터리로 가득한 세계관에서 마법사 캐릭터와 함께 다른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게임이다. 사용자는 주문과 다양한 마법 요소를 사용해 NPC, 다른 사용자와 전투를 벌이면서 게임 속 세계와 신비한 생명체를 찾아 탐험할 수 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블록은 코인게코 데이터를 인용, 1월 첫째 주 MANA 토큰의 거래량이 약 5,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1월 중순이 되자 11억 달러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같은 시기 SAND 토큰의 거래량은 9,500만 달러에서 7억 9.500만 달러로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 블록 리서치(The Block Research) 애널리스트 스티븐 정(Steven Zheng)은 MANA와 SAND 토큰의 가치가 1월 들어 급증한 이유를 정확히 지목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그는 “메타버스 서사가 최근 메타버스 테마 암호화폐의 가격 펌프를 견인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1월 30일(현지 시각), 웹 3 채택 가속화 선도 기업 NFT 테크(NFT Tech)가 더 샌드박스와의 협력 소식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더 샌드박스가 신규 협력사 확보를 포함한 생태계 확장 전략을 펼칠 방안을 모색하던 중 성사됐다. 더 샌드박스는 여러 브랜드와 지식 재산권을 가상 세계로 끌어모으기 위한 여러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메타버스 내 문화적, 지리적 다양성을 기념할 핵심 구역을 도입할 계획이다.
NFT 테크 CEO 애덤 디 카타(Adam De Cata)는 “오늘날 대다수 브랜드와 권리 행사자는 틱톡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메타, 링크드인 등 다양한 플랫폼 전반에 걸쳐 대중의 관심을 끌어모은다. NFT 테크는 새로이 떠오르는 가상 세계와 환경이 웹 3 네이티브 사용자 집단에 도달하고, 기존 고객의 깊은 참여 및 의미 있는 경험 제공을 위한 공간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더 샌드박스에 구축된 가상 세계에서 창의적인 전략과 컨셉과 함께 여러 게임을 제공하는 것이 완벽한 협력 관계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디센트럴랜드·더샌드박스, 오늘의 시세는? 2월 2일 오후 12시 42분 코인마켓캡 기준 디센트럴랜드의 시세는 전일 대비 7.8% 상승한 0.8036달러이며, 더샌드박스의 시세는 5.45% 상승한 0.7669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