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비트코인, 길어지는 횡보장…"약세장 진입 vs 강세장 지속" 전망 엇갈려

박병화 | 기사입력 2021/03/29 [14:24]

비트코인, 길어지는 횡보장…"약세장 진입 vs 강세장 지속" 전망 엇갈려

박병화 | 입력 : 2021/03/29 [14:24]


세계 최대 암호화폐(가상자산) 비트코인(Bitcoin, BTC)이 지난 24시간 동안 56,000달러선 안착을 시도하고 있지만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비트코인(BTC) 가격이 약세 국면에 진입할 것인지, 아니면 강세장을 이어갈 것인지 현재로선 불확실한 모양새다.

 

하지만 트위터에서 활동하는 암호화폐 분석가 플랜B(PlanB)는 수년간 비트코인(BTC) 가격을 상당히 정확하게 추적해 온 주요 지수 중 하나인 스톡 투 플로우 모델(stock-to-flow model)을 근거로 "비트코인의 강세장이 이제 막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샌프란시스코 기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헤지펀드 판테라 캐피탈(Pantera Capital)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댄 모어헤드(Dan Morehead)도 최근 이메일 뉴스레터를 통해 "스톡 투 플로우 모델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올해 여름에 11만 5천 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JP모건 출신 유명 암호화폐 분석가 톤 베이즈(Tone Vays)는 "비트코인이 통합(바닥 다지기)되고 있지만 여전히 강세장을 유지하고 있다"며 "6월 전에는 7만 달러대 이상으로 올라갈 것"으로 기대했다.

 

이밖에,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지표를 고안한 베테랑 투자자 존 볼린저(John Bollinger)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바닥론을 제기했고, 크립토퀀트 주기영 대표도 최근 트위터를 통해 "강세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비트코인 저점 매수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블룸버그 산하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시니어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은 최근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투자자의 '리스크오프(Risk-Off, 위험회피)' 옵션으로 전환 중이다”이라면서, "2021년에 비트코인의 가치는 40만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포브스 암호화폐 리서치 총괄이자 애널리스트인 스티븐 엘리히(Steven Ehrlich)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이 수주 간 하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리 상승은 안전한 투자 전략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비트코인은 안전한 투자가 아니기 때문에 향후 몇 주 동안 비트코인 가격인 계속 하락할 수 있다. 또 지난 몇 달 동안 시장에 진입한 일부 기관 투자자들이 현재 충분한 수익을 보고있기 때문에 비트코인 강세 모멘텀이 다소 소진됐을 수 있다. 비트코인은 안전 자산으로 홍보되고 있지만 사실상 성장주와 유사한 자산이다. 미연준의 금리 인상이 전망되는 한 이는 단기적인 비트코인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29일(한국시간)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 비트코인(BTC)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2.01% 하락한 약 55,294달러를 기록 중이다. 시가 총액은 1조 324억 달러 수준이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의 기고가인 애널리스트 라케쉬 우패드히에(Rakesh Upadhyay)는 "BTC/USDT 페어 가격이 20일 지수이동평균선(EMA·54,820달러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고, 상대강도지수(RSI)가 긍정적 영역에서 유지되고 있어 황소(매수 세력)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며 "황소가 56,500달러 부근의 강한 저항을 넘어 가격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면 60,000~61,825.84달러 범위의 저항 영역에 재도전할 수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 가격이 현재 수준에서 하락하면 20일 EMA는 물론 54,000달러 지지선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코인니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와이즈비트코인(Wisebitcoin) 리서치 센터 샤디 애널리스트는 "BTC/USDT 무기한 선물은 1일봉 차트 기준 58236.55 달러의 강한 저항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 저항선을 뚫지 못하는 한 약세 관점이 우세하다. 숏(매도) 타깃은 53256.22, 50783.49 달러다. 반대로 저항선을 상향 돌파 시 59838.61달러까지 열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