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소 7월 19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266,000원 (3.31%) 상승한 8,300,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57% 소폭 상승한 7,37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캐시는 16,000원 (1.73%) 하락한 910,0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0.71% 상승한 35,65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의 가장 큰 상승세, 하락세 순으로는 제로엑스 (64.94%) 카이버 네트워크 (31.14%) 루프링 (17.21%) 에이치쉐어 (15.52%) 아이콘 (10.75%) 에토스 (10.5%) 엘프 (6.87%) 질리카 (4.21%) 대시 (3.73%) 비트코인 (3.31%) 어거 (2.52%) 오미세고 (1.45%) 제트캐시 (0.91%) 모나코 (0.75%) 비트코인 골드 (0.71%) 골렘 (0.67%) 비체인 (0.51%) 모네로 (0.45%) 이오스 (0.21%) 트론 (0%) 퀀텀 (-0.61%) 라이트코인 (-0.62%) 비트코인 캐시 (-1.73%) 이더리움 클래식 (-1.83%) 리플 (-2.17%) 미스릴 (-2.27%) 이더리움 (-2.29%) 왁스 (-3.09%) 스트라티스 (-4.8%) 기프토 (-6.06%) 텐엑스 (-6.59%) 스팀 (-8.47%) 파워렛저 (-9.08%) 이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이오스 (88,793,610,975원) 카이버 네트워크 (80,161,420,403원) 제로엑스 (69,273,476,377원) 비트코인 (39,441,427,494원) 트론 (39,018,069,655원) 에토스 (32,332,953,290원) 미스릴 (30,259,223,344원) 스트라티스 (29,602,837,536원) 기프토 (29,172,477,512원) 리플 (28,701,083,610원) 텐엑스 (28,258,145,652원) 질리카 (27,434,800,281원) 루프링 (27,019,588,375원) 파워렛저 (26,915,537,765원) 왁스 (24,497,577,820원) 엘프 (18,826,141,916원) 이더리움 (16,557,198,215원) 스팀 (15,182,596,919원) 에이치쉐어 (14,404,338,644원) 비트코인 캐시 (12,063,771,928원) 아이콘 (8,785,825,660원) 골렘 (8,743,826,522원) 모나코 (8,458,998,892원) 이더리움 클래식 (7,678,185,400원) 퀀텀 (6,469,781,240원) 비체인 (4,510,820,956원) 어거 (3,752,729,197원) 비트코인 골드 (2,372,488,864원) 오미세고 (1,294,080,804원) 라이트코인 (1,240,271,391원) 제트캐시 (1,121,591,730원) 모네로 (364,770,588원) 대시 (355,203,421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는 '대장 격'인 비트코인을 비롯해 스텔라, 카르다노 등 일부 알트코인을 제외하고는 급등에 따른 조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은 7400달러선에서 매도 물량을 소화하고 있다.
이에 월스트리트의 암호화폐 전문 분석업체인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스(Fundstrat Global Advisors) 공동창립자인 톰 리(Thomas Lee)는 CNBC의 ‘패스트 머니’에 출연해 "현재 비트코인은 작년의 200일 이동 평균보다 30%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면서 "이는 긍정적 신호이고, 지난 6개월 흐름을 보면 지금 비트코인은 대폭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BK 캐피털 매니지먼트(BKCM) 설립자이자 암호화폐 투자자인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는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은 기술적인 수준(technical levels)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3주 동안 6천800달러가 저항선으로 작용해왔다"고 평가했다. 비트코인이 저항선까지 밀리자 매수세가 몰려들었다고 풀이했다.
이같은 암호화폐 전문가들의 기술적인 비트코인 상승 전망에 더해 유명 인사들의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 발언도 이어졌다.
베리 실버트 디지털 커런시 그룹의 최고경영자(CEO)는 CNBC가 주최한 알파 콘퍼런스에서, 비트코인뿐 아니라 전반적인 암호화 화폐 산업의 장기적인 미래에 대해 상당히 낙관하지만, 신규 진입 화폐들은 대부분 가치가 없는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실제 실버트는 비트코인은 올해 저점을 기록했다며 가격이 올해 최저점에서 움직이던 지난주에 추가로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덧붙였다.
라이트코인 창시자이며 암호화폐 업계의 유명 인사인 찰리 리(Charlie Lee)도 모든 알트코인 보다 비트코인 1개를 우선 구매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전체 발행량은 2100만개에 한정돼 있다. 백만장자가 하나의 비트코인을 소유하기 위한 물량 조차도 부족하다. 따라서 라이트코인을 포함한 다른 코인을 구매하기 전에 적어도 1BTC를 먼저 소유한 후에 원하는 다른 코인을 구매할 것"을 권유했다.
한편 우려했던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우호적인 발언이 잇따르며 투자자들을 안도하게 했다. 이날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내부 조직인 랩(Lab)CFTC를 책임지면서 최고혁신책임자(CIO)를 맡고 있는 대니얼 고핀 이사는 이날 미 하원 농업위원회가 주최한 공청회에 증인으로 참석, 성급한 규제로 인해 암호화폐를 통한 혁신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