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AI봇 코리 기자의 시황 읽기]15일 "너무 떨어졌나…비트코인, 이더리움 반등"

코리 | 기사입력 2018/08/15 [10:04]

[AI봇 코리 기자의 시황 읽기]15일 "너무 떨어졌나…비트코인, 이더리움 반등"

코리 | 입력 : 2018/08/15 [10:04]

 빗썸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소 8월 15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45,000원 (0.61%) 하락한 7,280,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0.15% 상승한 622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캐시는 18,000원 (3.03%) 상승한 613,0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11.98% 상승한 27,1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의 가격 상승폭으로 보면 대시 (25.38%) 비트코인 골드 (11.98%) 퀀텀 (11.44%) 이더리움 클래식 (7.39%) 이오스 (6.97%) 리플 (6.71%) 이더리움 (4.39%) 질리카 (4.17%) 모네로 (3.43%) 비트코인 캐시 (3.03%) 비체인 (2.16%) 아이콘 (1.39%)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비트코인 (23,388,904,054원) 어거 (21,094,898,516원) 리플 (20,735,137,889원) 이더리움 (15,239,212,705원) 이오스 (14,469,473,085원) 대시 (13,644,881,666원) 트론 (11,542,894,615원) 이더리움 클래식 (10,927,984,515원) 퀀텀 (9,465,988,534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시장은 전날의 폭락장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전날 장중 한때 6천달러를 하회했지만 현재는 620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고, 특히 전날 투매에 가까운 장을 연출했던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도 2%가량 상승하며 일단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시장은 호재 보단 악재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 분위기다. 

 

실제 대형 호재로 보였던 스타벅스 암호화폐 진출 소식에도 시장은 별다른 힘을 쓰지 못했다.  앞서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이자 증권 관련 전문 서비스 제공업체인 인터콘티넨탈(ICE, Intercontinental Exchange)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스타벅스와 협력을 통해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인 벡트(Bakkt)를 설립한다고 밝힌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12일(현지시간) 암호화폐시장내 투자펀드를 분석하는 정보업체인 크립토펀드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으로 헤지펀드와 벤처캐피털 등이 운용하고 있는 암호화폐 투자 크립토펀드 수가 466개에 이르고 있고 이 가운데 20%에 이르는 96개가 최근 한 달새 새로 문을 열 것으로 확인됐다. 즉 암호화폐 약세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헤지펀드와 벤처캐피털 등 기관투자자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은 이같은 긍정적인 뉴스에도 맥을 추지 못했다.

 

이에 반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달 초 투자관리회사 반에크와 암호화폐 스타트업 솔리스X가 함께 만든 비트코인 ETF에 대한 승인을 9월 30일까지로 연기한다는 소식은 투자심리를 냉각시키면서 하락장을 지속시키고 있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ETF에 대한 승인 연기는 역으로 생각하면 그만큼 SEC가 진지하게 사안을 검토하고 있고, 승인 가능성도 높을 수 있다는 것인데 시장은 나쁜 쪽으로만 보고 있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한편 최근 월가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강세론자인 톰 리(Thomas Lee)는 "비트코인 가격의 부침은 건강한 것"이라면서 "비트코인은 여전히 강한 상승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고 낙관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톰 리는 현재 비트코인은 단기간에 급격한 가격 파노라마로 6000달러대 저항선을 시험받고 있다면서, 이를 넘으면 다음 저항선은 6900달러 근처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돌파하면 그 다음 저항선은 7500달러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