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뉴스비트코인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기구(IMPA)가 '가상자산 분야의 위험 신호'란 제목의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 초안은 암호화폐를 활용한 이스라엘 내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됐다. 이를 통해 민간 영역에서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 관련 자금세탁 방지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가이드라인은 믹서를 사용하거나 대시, 모네로, 지캐시 등 익명성을 중시하는 암호화폐로 거래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췄다.
그 외 ▲고액의 현금으로 가상자산을 구입하는 경우 ▲가상자산 주 거래층이 아닌 고령자의 거래 ▲탈중앙화 거래소 이용자 ▲뚜렷한 이유 없이 개인식별수단(주소, 전화번호)을 자주 변경하는 경우 ▲암호화폐를 통한 기부자도 위험 인물로 분류됐다.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자는 이 같은 위험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문제를 조사하고, 자금세탁 등 혐의가 발견될 경우 당국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금융당국은 이번 가이드라인이 다양한 금융규제기관, 업계와 협력해 작성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스라엘 암호화폐 업계와 커뮤니티는 분류 기준이 지나치게 과도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암호화폐 거래소 BIT2C의 재무·규정 준수 책임자는 "위험 신호 리스트는 성장하는 산업과 기술, 민주주의에 내재된 근본적인 권리인 개인의 자유, 사생활의 관리, 재산과 직업의 자유를 해칠 것"이라 주장했다.
한편, 암호화폐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2019년 이스라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업체가 2018년(113개)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2019년 암호화폐 시장이 순탄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내 업계 관련 업체 증가세가 비교적 두드러졌다”며 “이스라엘 업계 관련 업체 수는 2017년 53개에서 꾸준히 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