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더블록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할라 아얄라(Hala S. Ayala) 하원의원이 사전 제출하고, 이달 8일 정식 상정된 결의안은 버지니아주 선거부에 유권자 기록과 선거 결과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연구를 촉구하고 있다.
해당 결의안은 선거부가 연구를 통해 선거에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파악하고, 기존 등록·투표 보안 조치와 비교해 블록체인이 가진 이점 및 예상 투입비용을 확인하며 블록체인 도입 가능성과 활용 방안에 대한 권고안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선거구는 버지니아정보기술기관(VITA)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1년차 연구를 위한 회의를 오는 11월 30일까지, 2년차 연구를 위한 회의를 내년 11월 30일까지 마무리해야 한다. 또 연구 개요와 결과 보고서, 권고안을 주지사와 의회로 제출해야 한다.
이처럼 전세계에서 소규모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18년 웨스트버지니아주는 의원 선거에, 일본 이바라키현 쓰쿠바 시는 사회개발 프로그램 투표에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도입했다. 우크라이나 중앙선거위원회, 모스크바 시의회 등도 블록체인 기반 투표 도입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한편, 글로벌 보안업체 '맥아피' 창업자인 존 맥아피(John Mcafee)가 미국 국회의원 535명을 토큰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존 맥아피는 미국 국회의원 전부를 토큰화하고, 그가 운영하는 거래소 맥아피덱스(McAfeedex)에 상장할 계획이라 발표했다.
각 의원마다 토큰화 작업이 이뤄지면 가격이 책정돼 사고 팔 수 있게 된다. 토큰화 작업은 오는 2월까지 진행되며, 3월 1일 초기 상장가 1페니(약 15원)에 상장된다.
그는 이번 토큰화를 통해 "의원들이 정말로 가치 있는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의원들의 부정부패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맥아피는 이번 프로젝트를 두고 미 당국의 협박을 받았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대선 후보자 명단에 포함된 국회의원 토큰화는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그는 프로젝트 진행 의사를 나타냈다.
앞서 맥아피는 기업 로비를 통한 의원들의 부패를 지적하며 대선후보로 나서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관련 홍보 활동은 잠시 중단할 예정"이라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암호화폐 업계의 명사이자 반정부 운동가인 맥아피는 소득세 탈루 의혹으로 현재 쿠바에서 도피 생활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