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 블록체인 분석가인 스펜서 보거트(Spencer Bogart) 파트너가 최근 암호화폐 가격 하락과 관련해 기관투자가 매물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보거트는 유명한 벤처캐피털 회사인 블록체인 캐피털(Blockchain Capital)의 파트너이며,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을 다룬 최초의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로 알려져 있다.
26일(현지시간) 스펜서 보가트는 CNBC에 출연해 “락업(보호예수) 기간이 끝나가는 헤지펀드들이 내놓은 매물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보가트는 비트코인이 글로벌 존재감, 입증 가능한 실제 적용 사례, 연방 규제 당국이 증권이 아닌 상품으로 분류했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암호화폐 공간에서 가장 견고한 자산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보가트는 CNBC ‘패스트 머니’와의 인터뷰에서 "(헤지펀드 매물이 다 소화되면) 연말쯤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1만달러 위로 올라갈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암호화폐의 제도화가 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의 존속에 도움이 될 것이며 비트코인의 미래를 긍정적 방향세로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BK 캐피털 매니지먼트(BKCM) 설립자이자 암호화폐 투자자인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가 "비트코인이 바닥을 확인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쳐 주목받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켈리는 "최근 보여주는 비트코인의 가격 움직임은 비트코인이 바닥에서 보여왔던 모습이며, 또 채굴자들의 입장에서는 5900달러 수준이 손익분기점이기 때문에 이 같은 수준을 지키는 것은 인센티브가 된다"면서 비트코인 바닥론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켈리는 암호화폐 수요 증가에 따른 테더 추가 발행과 미중간 무역전쟁으로 인한 비트코인 수요 급증을 비트코인 바닥의 조짐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