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이자 조지메이슨대학교(George Mason University) 경제학 교수인 타일러 코웬(Tyler Cowen)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이 지난 1월 대비 80% 이상 감소했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 붕괴가 꼭 나쁜 것 만은 아니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6일(현지시간) 영국 이코노미스트지가 최근 1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의 한 명으로 꼽은 코웬 교수는 블룸버그에 게재한 칼럼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암호화폐 가격 붕괴가 기술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는 19세기 철도 주식 붕괴 및 닷컴 버블을 예로 들면서 "19세기 거품 이후 철도주는 폭락했지만 여전히 철도는 세계를 변화시켰고, 인터넷 주식은 2000~2002년 닷컴 붕괴로 급락했지만 이후 나쁜 기업들은 정리되고 아마존이나 구글 등 후속 기술 혁명의 길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웬 교수는 "암호화폐 시장의 문제는 '쓰레기(junky) 아이디어'들이 무분별하게 ICO(암호화폐공개)를 진행하며 질을 흐리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본적으로 제로 가치에서 8천억 달러의 시총까지 성장한 산업에서 사람들은 '떡고물(pie)'을 바라며 무분별하게 진입하는 상황이 놀라운 것은 아니다. 시장에는 현재 수천 개의 백서, 스타트업, 사기가 판치고 있으며, 일부 가치 있는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코원 쿄수는 "암호화폐는 이제 다이어트를 할 때가 왔다. 더 이상 쉽게 돈을 벌 수 없다"며 "단순히 ICO를 통해 순식간에 부자가 되는 수단을 떠나 사회적인 가치(social worth)를 증명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암호화폐가 새로운 투자 자산으로 살아남으려면 성공 사례(good story)가 필요하며, 이는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영웅적인 혁신(heroic innovation)을 뛰어넘어야 하며 또, 실용적(practical)이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