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내년 3월 특금법 시행에 대비해 인력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암호화폐 시장 침체로 인한 투자 감소와 코로나19 여파로 인력 감원 등 큰 타격을 입은 국내 블록체인 기업과 달리,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적극적인 공개 채용을 진행 중이다.
내년 시행될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금법) 시행에 대비해 자금세탁방지(AML) 솔루션 구축, ISMS 인증 등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한편, 사업 확장을 위해 다양한 직군을 채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팍스, 플라이빗, 포블게이트, 지닥, 후오비 코리아 등 국내 거래소들은 준법감시인, 개발자, QA엔지니어, 사업 개발, 기획, 마케팅 등 사업 전반에서 폭넓은 인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내년 특금법이 시행되면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실명인증계좌를 발급받고, ISMS 인증을 획득해 금융정보분석원(FIU)로부터 사업자 인가를 얻어야 한다. 인가를 받아 사업을 지속하게 되는 거래소들은 강화된 규제 준수를 비롯해 변화된 시장에서 경쟁을 펼치게 된다.
이에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적극적인 인력 채용을 진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특금법 사업자 인가를 포기한 거래소들이 속속 운영을 중단하게 되면, 해당 거래소 인력을 흡수하겠다는 포석이 깔려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한 블록체인 전문 인력 구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아직 부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올 초 블록체인 기업들이 인원을 감축하면서 우수 인재들이 업계를 떠났기 때문이다.
과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하고, 암호화폐 공개(ICO) 열풍이 불며 많은 개발자와 전문가들이 블록체인 업계로 이직했다. 당시 대기업, 금융권, IT업계 종사자들이 대거 블록체인 업계로 유입되며 높은 수준의 연봉 체계가 형성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시장 침체로 인한 경영난과 인원 감축으로 우수 인력들이 다시 업계를 떠나는 소위 '탈블(탈블록체인)' 현상이 이어지며, 업계에 남은 인원을 대상으로 한 채용 경쟁이 심화됐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특금법을 준비하며 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지만, 떠나간 인재를 돌아오게 만드는 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명확인계좌를 발급받고 있는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를 제외한 나머지 거래소들이 특금법 이후 살아남을 수 있을지가 불확실하고, 특금법이 시행된다고 해서 암호화폐에 대해 부정적인 정부 정책 기조가 변하리라는 보장도 없기 때문이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아직 특금법 시행령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지만 사업자 인가를 얻기 위해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구축 등 규제 준수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면서도 "관련 사업을 수행할 우수 인력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인 상황이어서 어려움이 많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