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코인글래스(CoinGlass)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선물 거래 쌍의 미결제약정(OI) 대비 테더(Tether, USDT) 준비금 비율은 2024년 3월 이전 기록한 사상 최고치 대비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의 미결제약정은 지난주 640억 달러에서 580억 달러로 약 9% 감소했다. 그러나 비트코인-테더(BTC-USDT) 무기한 선물 거래 쌍의 상대적 미결제약정은 2024년 3월 기록한 연초 최고치보다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적용된 상태로 나타났다. 이는 비트코인 선물 시장이 여전히 높은 레버리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추가 가격 하락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중앙화 거래소의 종합 주문서 데이터에서는 11만 달러 부근에서 대규모 매도 주문이 확인되었으나 주문이 아직 체결되지 않았다. 매도벽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가격이 해당 수준에 도달하기 전 반전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롱 포지션 트레이더들은 상승 리스크 대비 보상이 제한적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관망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 가격 차트에서는 9만 5,000달러를 기본 추세선으로 삼은 쌍고 패턴이 확인됐다. 현재 10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이 즉각적인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00일 EMA 단기 테스트가 역사적으로 강한 반등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단기적으로 100일 EMA 시험 시 쌍고 패턴의 기술적 목표에 따라 9만 800달러까지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후 핵심 유동성 구간인 9만 달러 아래로 즉시 하락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암호화폐 선물 애널리스트 비잔틴 제너럴(Byzantine General)도 9만 달러 하회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12월 중 비트코인이 8만 5,000달러 수준에서 유동성 스윕(liquidity sweep) 현상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았다. 다만, 비트코인 가격 하락이 단기 조정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았다.
돈알트(DonAlt)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는 암호화폐 트레이더는 9만 달러 아래로 하락한다면, 8만 달러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반대로 9만 8,000달러 돌파로 종가를 형성한다면, 11만 달러까지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실현되지 않는다면, 현재 구간에서 횡보세를 이어갈 것으로 진단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