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9만 8천 달러 수요 집중...강세 신호탄 vs 지정학적 리스크 전망 대립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돌파하지는 못했으나 시장 참여자의 관망세와 함께 변동성이 완화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인지도가 높은 트레이더인 젤레(Jelle)는 “비트코인의 10만 달러 돌파라는 목표는 여전히 동일하다. 10만 달러는 비트코인 가격 변동 구간의 중간 지점이기도 하다. 10만 달러 돌파 시 11만 달러를 다음 목표가로 시험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트레이더 다안 크립토 트레이드(Daan Crypto Trades)는 현물 시장의 수요를 비트코인 가격을 낙관할 근거로 지목했다. 그는 “현물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프리미엄에 거래된다는 사실은 해당 가격 영역에서 비트코인 수요가 많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최근 시장 혼란 속에서도 탄탄한 수요를 유지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MSTR)를 비롯한 복수 기업이 빠른 속도로 비트코인을 축적하는 추세에 주목하며, “결국에는 비트코인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먼트(Santiment)도 비트코인의 강력한 투기 심리가 여전하다는 시장 동향을 전했다. 샌티먼트는 알트코인의 하락세, 미국의 친암호화폐 정책이 비트코인 강세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투기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일부 트레이더가 패닉 매도에 나서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주요 투자자의 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반면, 디지털 자산운용사 QCP캐피털(QCP Capital)은 비트코인이 외부의 추가 변동 요인을 견딜 면역력을 갖추지 않았다는 내용의 전망 보고서를 내놓았다.
특히, 지정학적 갈등이 비트코인의 추가 하락세를 촉진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공식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서는 “비트코인이 9만 달러보다 높은 영역에서 가격 회복력을 기록한 사실은 놀랍지만, 세계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등 부정적인 지정학적 사건 때문에 비트코인 전망을 조심스럽게 살펴보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 “지정학적 갈등 우려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강세 촉매제가 없다는 점에서 시장이 가격 악재에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방어적 접근 방식과 위험 관리가 핵심”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