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영국의 대표 통신사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 루 레이 부국장은 상하이 포럼에서 "국경 간 무역 금융과 거시 건정성 관리에 블록체인과 같은 핀테크 기술과 인공지능 활용을 촉진하겠다"며 "현재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 중"이라 말했다.
부국장은 "급속히 발전하는 디지털 금융과 핀테크에 특별히 주목해야 한다"며 "중국의 금융허브인 상하이가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여 지급결제 시스템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비즈니스 유형의 전개 방향을 확신할 수 없을 때는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며 "리스크 관리의 기초는 효과적인 금융 인프라 구축에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채권시장을 포함한 중국 자본시장을 더욱 개방할 것을 약속하면서, 외국 투자자를 위한 투자 채널을 공고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부국장의 발언은 최근 글로벌 통화 시스템,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협과 자금세탁 가능성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지난 주말 중국 시진핑 주석이 혁신을 위한 핵심 기술로 블록체인을 지목한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시진핑 주석은 블록체인을 기술 혁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현재 중국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을 준비 중이며, 내년 1월부터 암호화 기술 관련 법률이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중국은 암호화폐 금지 기조와는 별개로 블록체인 기술 경쟁력 강화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모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실제로 중국 제2차 블록체인 정보 서비스 라이센스 신청(备案)에 참여한 기업이 300개를 넘어섰다. 1차까지 포함하면 신청 기업 수는 500개를 돌파했다. 대부분 은행, 금융 기관, IT 서비스 기업으로 메이저 상장 기업들도 다수 포함됐다.
중국 인민망 예전전(叶蓁蓁) 대표는 ‘블록체인의 오늘과 미래’ 컬럼에서 “중국 내 블록체인 기술이 정책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산업 활용 범위도 확장되고 대중의 블록체인 가치 수용도 점점 더 빨라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 국가 주석의 지침을 받아들여 블록체인을 핵심 기술로 삼고 혁신 돌파구를 모색, 블록체인이란 첨단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고 신기술과 기존 산업과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술 육성 과정에서 규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이라는 거대 잠재 시장을 무시하는 것은, 스스로 도태하기를 선택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