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中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시티 식별 시스템 자체개발..."암호화폐 규제 방침은 별개"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19/11/05 [11:33]

中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시티 식별 시스템 자체개발..."암호화폐 규제 방침은 별개"

박소현 기자 | 입력 : 2019/11/05 [11:33]


중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시티 식별 시스템을 공개했다. 하지만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와 별개로 암호화폐에 대한 강력한 규제 방침은 변함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현지시간) 중국 국영 미디어 글로벌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스마트 시티 간 연결성과 데이터 공유 수준 개선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 도시 식별 시스템을 독자 개발했다.

 

허베이성 스자좡(石家莊)의 세 기관이 공동 출시한 이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 시티의 각종 블록체인 서비스와 인프라를 연결한다. 현재 전국 도시에서 자체 식별 코드를 신청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 2012년부터 스마트 시티 파일럿에 착수하고, 지난 2016년부터 건설에 들어가 내년에는 최소 100개 도시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딜로이트 조사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기준 스마트 시티 파일럿을 500건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자로 참여한 중관춘(中關村) 산업정보연구소 바코드 부문 차오 장(Zhang Chao) 총괄은 "통일 규정 및 분산 저장 솔루션, 조작 방지 코드를 갖춘 시스템으로 중국이 이를 독자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며 중국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란 점을 강조했다. 

 

중국도시개발연구회 커지아 허(He Kejia) 부대표는 “인터넷과 첨단 IT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산업과 각 부문에 통일된 코드가 없어 데이터 상호운영성 문제, 앱 호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해당 시스템이 각 도시에 국제 표준에 따른 글로벌 디지털 식별 고유 코드를 할당해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라 설명했다.

 

한편, 중국은 스마트 시티에 적용할 블록체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빠른 속도로 수용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블록체인을 독자적인 기술 혁신을 위한 중요한 돌파구로 삼아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블록체인 산업과 달리 암호화폐에 대해 강력하게 규제하겠다는 입장은 변치 않았다.

 

인민일보(人民日報)는 '인민 시평' 칼럼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에는 암호화폐가 수반되지만 블록체인 기술 혁신이 암호화폐 투기와 같지 않다"며 "(내재 가치가 없는) '공기 화폐' 투기는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의 미래가 왔지만 이성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산 보관, 불법 정보 전파, 불법 거래, 자금세탁 등은 반드시 엄격히 통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암호화폐 투기에 대한 경고 메시지는 시진핑 주석의 블록체인 경쟁력 강화 발언 이후 들썩이는 블록체인 관련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을 잠재우기 위한 강경발언으로 풀이된다.

 

4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기는 다르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 방침이 변함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이 '차세대 협력 매커니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인민일보는 "블록체인을 육성한다는 큰 방향에는 틀림이 없고, 중국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기반을 잘 갖추고 있다"면서 "20개 이상의 지방정부에서 블록체인 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도입했고, 상대적으로 풍부한 인적 자원과 기술 보급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