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홍콩 대표신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장 클로드 트리셰(Jean-Claude Trichet) 전 유럽중앙은행 총재는 베이징에서 열린 제10회 카이신(Caixin) 연례 컨퍼런스에서 "비트코인을 강력히 반대한다. 암호화폐는 실체가 아니라 허구”라 주장했다.
유럽중앙은행과 프랑스 중앙은행을 이끌었던 트리셰 전 총재는 “암호화폐 매입은 여러 면에서 순전히 투기라 볼 수 있다”면서 “암호화폐가 기초자산을 기반하더라도 여전히 투기가 많다.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동전과 지폐 사용이 많이 줄었지만 이를 암호화폐가 대체하진 못할 것이라 전망했다.
암호화폐는 기존 금융시스템을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시키고,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 통제력을 위협할 수 있다고 평가되면서 수많은 금융관계자들의 우려를 샀다.
특히 가치 안정성이 보장되는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기존 법정화폐 기반 통화시스템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트리셰 전 총재는 페이스북이 주도 중인 스테이블 코인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해 중앙은행은 지지하기 어렵다며 반대 입장을 확실히 했다.
아울러 국제통화기금(IMF)이 창출한 달러, 유로, 파운드스터링, 위안화, 엔화 연동 국제준비통화인 '특별인출권(SDR)'을 더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트리셰 전 총재는 "암호화폐의 통화 가치를 통제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면서 "SDR는 안정적인 새 국제 통화로 적절한 바스킷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최근 나스닥 전 최고경영자(CEO) 밥 그레이필드(Bob Greifeld)는 "비트코인(BTC)을 보유하지 않고 투자 가치에 대해서도 중립적인 입장이지만 암호화폐는 반드시 그 잠재력을 보여줘야 투기 요소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그는 "디지털화폐가 가져오는 사회적 가치가 분명하다.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국가의 주권과 연결되어 있다"며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은 여러 화폐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지 않는다. 미국은 단일 화폐를 사용하는 환경이기 때문"이라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