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슬란트 리서치센터는 최근 '암호화폐 공시, 이대로 충분한가'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현재 사기업이 제공 중인 암호화폐 공시 정보는 토큰 가치 상승이나 사용성에 대한 이해 자료로 쓰인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전통 금융시장에서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과 같은 공시 플랫폼이 운영된다. 반면 관련 법률이 없는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사기업이 관련 공시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크립토퀀트, 크로스앵글, 엠버데이터, 센티넬, 라이즈랩, 수호 등에서 암호화폐 공시 정보를 제공 중이다.
이들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은 블록체인 상에 나타나는 온체인 데이터(거래 내역, 지갑 주소 등)와 각 암호화폐 프로젝트팀이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정보 기반으로 투자자에게 공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자발적으로 제공한 정보는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통 금융시장처럼 이를 감독하는 주체도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
헥슬란트는 "법적 규제 없이 사익을 추구하는 기업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이유가 없다"면서 "상도덕이란 잣대 외에는 재단이 공시하지 않았을 때 실질적인 패널티를 줄 수 있는 관리·감시 대상이 부재한 구조 때문"이라 지적했다.
반면 온체인 데이터는 누구나 볼 수 있는 블록체인 상 데이터에 기반하기에 객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헥슬란트는 "부족한 저장공간, 프라이버시 문제, 처리 속도 한계 등 온체인의 한계로 인해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하는 오프체인 방식이 등장했다"면서 이로 인해 실효성이 줄었다고 봤다.
보고서는 "서비스 런칭 이전 단계에서는 토큰 대부분이 거래소, 재단, 초기 투자자 지갑에 보관돼 있다"면서 "이 경우 온체인 데이터가 토큰의 유동성이나 새로운 유저의 유입 등 지표에 대한 설명 자료로 쓰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헥슬란트는 "공시 플랫폼이 각 프로젝트의 마케팅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실효성 있는 정보 게시와 더불어 실질적인 검증과 확인이 필요하다"면서 "전통 시장처럼 암호화폐 규제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정책적 뒷받침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라 강조했다.
한편, 블록체인 프로젝트 대상으로 등급을 매기거나,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블록체인 전문 평가법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투자자와 블록체인 프로젝트 간 정보 비대칭성을 최소화해 투명한 암호화폐 투자시장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달 출시된 암호화폐 정보공시 플랫폼 '쟁글'은 총 406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각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직접 쟁글에 자사 정보와 공시 정보 등을 전달하는 형태다.
현재 빗썸, 코빗, 한빗코 등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와 파트너십을 맺고 자사 공시정보를 제공 중이다. 각 거래소는 쟁글의 공시정보를 신규 암호화폐를 상장하거나, 이미 상장된 암호화폐에 대한 상장적격성을 심사할 때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블록체인평가의 경우 지난달 블록체인 기반 학습 이력관리 플랫폼 '에듀블록'에 대한 평가등급을 자사 홈페이지에 공시했다. 지난 9월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충전 프로젝트 '차지인'에 대한 등급평가를 실시한지 약 한 달만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독자적으로 제공 중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측의 게재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자사는 해당 공시 내용에 대한 검증이나 보증을 하지 않으며, 해당 공시에 따른 투자 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