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미디어 톰슨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덴마크, 케냐 적십자사는 재난 및 빈곤 지역에 현금·바우처 대신 블록체인 화폐를 지원하기 위한 2개년 계획에 착수했다.
적십자는 본래 전쟁 부상병 구호를 목적으로 설립됐으나 이후 포로·민간인·이재민 구호, 의료 봉사 등으로 활동 범위를 확대해왔다. 특히 재난 및 빈곤 지역에는 연간 10억 달러를 현금이나 바우처로 공급하고 있다.
그 일환인 블록체인 지역화폐 솔루션은 케냐와 에디오피아에서 시범 활용 중이다. 노동, 판매를 통해 얻은 소득 또는 구호활동에서 받은 크레딧을 휴대폰으로 이용 가능해 지역거래가 개선되고 있다.
해당 솔루션은 케냐 지역 전체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 외 말라위, 미얀마, 짐바브웨, 카메론, 파푸아뉴기니에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적십자사는 2년 동안 이용자가 3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덴마크 적십자 대표는 "케냐의 유명 모바일 송금 시스템 'M-Pesa'와 유사하나 지역 화폐를 보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적십자 컨설터트 파울라 길(Paula Gil)은 "블록체인 기술 혁신이 구호 활동의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고 기대를 전했다.
그래스루트 이코노믹스(Grassroots Economics) 설립자 윌 루딕(Will Ruddick)은 "서버 등, 케냐 전체 지원에 연간 4만 달러가 들어간다"며 블록체인 시스템의 낮은 운영 비용을 강조했다.
그는 "블록체인이 기부자가 전달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등, 투명성과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다"며 "지역 경제를 부양하여 지역에 대한 단기적이고 만성적인 구호 사이클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은 국가 의료보건 시스템 개선과 도시개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최근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공중보건부는 블록체인 기술업체 '팬텀오퍼레이션(FantomOperations)'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위조 의약품 식별 ▲병원 등록 시스템 구축 ▲디지털 의료 기록 생성 등에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방침이다.
유럽 망명신청기구가 올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구하기 쉬운 저렴한 민간 의약품 의존도가 높은 데다가 심각한 위조 의약품 문제를 겪고 있다. 의약품 수입업체 연합도 "의약품과 의료장비 중 최소 40%가 아프가니스탄에 불법으로 들어왔다"며 높은 비율의 불량 의약품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페로주딘 페로즈(Ferozuddin Feroz) 공중보건부 장관은 "전자 정부 전환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며 "블록체인 기술이 정부의 의료 보건 업무에 투명성과 효율성을 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말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유엔과 함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유엔의 '시티포올(City for All)' 이니셔티브 일환으로 토지 등기 시스템과 서비스 투명성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 중인 상황이다.
유엔은 향후 15년 내 아프가니스탄의 도시화를 예상하면서 ▲효과적인 토지 관리 ▲전략적 도시 계획 수립 ▲지방 재정 상황 개선 등 세 가지를 우선순위로 제시했다.
아울러 아프가니스탄 중앙은행 카릴 세디키(Khalil Sediq) 총재는 지난 4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암호화폐 채권 발행을 고려 중"이라며 "민간 투자가 필요한 국가 주요 산업 광업, 농업, 에너지 분야를 위해 58억 달러를 유치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