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 법무부 "몰수한 암호화폐 가치, '코인마켓캡' 시세로 산정"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19/12/21 [14:57]

美 법무부 "몰수한 암호화폐 가치, '코인마켓캡' 시세로 산정"

박소현 기자 | 입력 : 2019/12/21 [14:57]


미국 법무부가 글로벌 암호화폐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 데이터를 토대로 몰수한 암호화자산 가치를 산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9(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더블록 보도에 따르면 미 법무부 감찰관실(DOJ OIG)은 최근 범죄수익 몰수자산 관련 보고서를 통해 몰수한 자산과 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기술했다. 

 

보고서는 "법원 몰수 명령이 떨어지면, 몰수 시점의 추정 시장가에 따라 가치를 기록하고, 처분 시점 또는 자산몰수프로그램(AFP)의 필요에 따라 가치를 조정한다"며 "몰수 자산이 금융 상품이면 웹 기반 가치평가 도구를 사용한다. 암호화폐의 경우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삼는다"고 기술했다.

 

코인마켓캡은 가격과 거래량부터 각종 순위까지 다양한 암호화폐 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전세계 최다 방문 사이트 500위권에 들어있다.

 

일각에서는 코인마켓캡이 제공하는 데이터의 적합성과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비트와이즈 애셋 매니지먼트는 SE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코인마켓캡이 잘못된 시장 정보를 제공해 산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코인마켓캡은 데이터 정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거래소 협력 기구 ‘데이터 책임 및 투명성 연합(DATA)’을 결성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가 비트코인 이용자 네 명 중 한 명은 불법 활동과 연관됐다고 주장했다.

 

1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이사인 라엘 브레이나드(Lael Brainard)는 최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 관련 행사에서 "여러 연구를 통해 범죄활동 내 암호화폐 이용이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금융시장을 통틀어 핵심 인물로 거론되는 브레이나드 이사는 "비트코인 이용자 중 4분의 1 이상, 비트코인 거래 중 절반 이상이 불법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면서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3분의 1만 이용자 신원과 주소 확인 절차를 요구한다"고 암호화폐 시장의 보안 수준에 대해 지적했다.

 

실제로도 다크웹 거래와 같은 불법 활동에 암호화폐가 사용됨에 따라 이를 동결 또는 압류하는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미국 연방보안관실, 핀란드 재무부 등은 몰수한 암호화폐 자산을 경매 방식으로 처분하기도 했다. 현재 러시아도 2021년 시행을 목표로 비트코인 몰수법 제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