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금융당국이 코로나19 관련 암호화폐 사기에 대한 주의령을 내렸다.
14일(현지시간) 외신 보도에 따르면 영국 재정청(FCA)은 지난 11일 코로나19 관련 사기에 주의하라는 내용의 경고문을 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 관련 사기가 보험 상품, 연금 이전, 암호화 자산을 비롯한 고수익 투자 기회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는 작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세계로 확산됐다. 16일 오전 9시 기준 약 147개국 16만명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됐으며 6463명이 사망했다.
같은날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에 대해 세계적 대유행, 즉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다. 이에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증시가 10%가량 폭락하고, 비트코인은 전날 대비 40% 폭락했다.
재정청은 경고문을 통해 "과도하게 좋은 투자 상품은 사기일 확률이 높다"면서 "고수익 투자 상품 또는 암호화 자산에 투자하기로 했다면 모든 자산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4일 현 재정청 청장이자 영란은행 차기 총재인 앤드류 베일리도 "아무 것도 비트코인의 가치를 보장하지 않는다"며 "비트코인에 투자한다면 자산을 모두 잃을 각오를 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런던시경 산하 국가사기정보국(NFIB)에 따르면 범죄자들은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이용해 WHO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대한 비트코인 기부를 탈취하고 있다.
NFIB는 "지난달부터 21건의 코로나 사기가 신고됐다"면서도 "암호화폐 사기 비율은 적은 편이며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다만 그 밖의 코로나 사기로 약 80만파운드(12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알려졌다.
한편, 영국 외에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비롯한 조지아, 네브래스카, 유타, 오리건 주정부와 몰타 등이 코로나 투자 사기 경고를 발표했다.
지난 2일 북미 소비자보호단체인 '거래개선협회(BBB)'는 작년 한 해 동안 가장 큰 피해를 남긴 사기 유형으로 위장취업 알선(153.6점), 암호화폐 사기(93.8점), 온라인 구매 사기(93.6점)를 지목했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미 지역 기업 및 단체가 암호화폐 사기로 입은 평균 피해금액은 3000달러(약 360만원) 수준으로 지난 2018년 평균 피해액인 900달러(약 100만원)에서 세 배 증가했다.
영국 재정청은 자금세탁 감독을 강화하면서 암호화폐 산업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기관은 지난주 비트멕스 등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무허가 운영 경고를 연이어 내놓은 바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