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암호화폐시장에 대해 전통적인 기존 시장에 적용되는 법률에 의해 동일하게 규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국제적 차원의 암호화폐 규제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날 IMF 블로그에 올린 ‘암호화 세계의 어두운 면에 대해’(Addressing the Dark Side of the Crypto World)라는 글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을 뛰어넘어 많은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도와줄 흥미진진한 진전”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이같은 번영과 함께 따라올 위험에 대해서도 규제당국자들이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블로그 글 중 눈길을 끄는 점은 암호화폐시장에서의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 방식에 대해 라가르드 총재는 “불에는 불(Fight fire with fire)”이라며 암호화폐 관련 기술을 이용해 암호화폐시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라가르드 총재는 분산원장기술(DLT)인 블록체인과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와 인공지능(AI), 암호화 기술에 주목했다. 이 기술들을 잘 활용할 경우 의심스러운 거래를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포착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는 분산성과 익명성, 중앙은행이 필요하지 않다는 특성으로 인해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등 각종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며 지난해 대표적인 불법 인터넷 암시장 '다크웹(dark web)'이자 10억 달러의 암호화폐 거래가 이루어졌던 알파베이가 폐쇄되었던 사례를 언급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어떤 국가도 이 난관을 독자적으로 다룰 수는 없다면서,“암호화폐는 전통적인 금융시장을 위협할 수 있으며 경계가 없는 암호화폐의 특성에 따라 규제 또한 글로벌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19일 아르헨티나에서는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열려 암호화폐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