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현지 일간지 엘 크로니스타(El Cronista) 보도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자금세탁방지기구인 금융정보국(FIU)은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감독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정보국은 암호화폐를 거래한 개인과 기관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제재에 나설 계획이다. 기관은 이미 은행, 신용카드사, 거래소, 뮤추얼펀드 등의 금융기관에 의심거래 신고를 요구해둔 상태다. 그 외 운송업체, NGO단체 등 비금융기관에 대해서도 포괄적인 감독을 실시할 방침이다.
금융정보국은 "최근 국제 기준과 자금세탁방지 규정을 우회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가 늘고 있다"며 "이번 조치는 자금세탁과 기타 범죄활동을 근절하기 위한 것"이라 강조했다.
하지만 업계는 당국의 이번 암호화폐 규제 강화 정책이 아르헨티나 법정화폐인 페소(peso)의 가치를 방어하기 위한 조치로 보고 있다. 현지 비트코인센터 창립자인 프랑코 아마티는 "이번 조치는 페소를 주고 비트코인을 구입해 이를 미국 달러로 환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 주장하기도 했다.
지난 22일 아르헨티나는 채권 이자 5억300만달러(약 6240억원)를 지급하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가 됐다. 지난 1816년 스페인에서 독립한 이래 9번째 디폴트다. 국가 신용등급은 CCC에서 D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페소의 가치 하락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여기에 물가 상승까지 더해져 아르헨티나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더 안정적인 가치저장 수단을 확보하기 위해 보유한 페소를 매각하고 비트코인 보유를 늘리고 있다. 이에 장외거래를 통한 비트코인 P2P 거래는 지속적으로 늘어 올해 현지 비트코인 가격에 여러 차례 프리미엄이 형성된 바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외화 유출을 막기 위해 유사 거래시장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강력한 외환통제 정책 시행에 나섰다. 다만 이러한 조치로 페소 가치 추락이 진정될지 여부는 미지수다.
베네수엘라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바타글리아는 "당국의 이번 조치가 아르헨티나 정부가 국민에게 남은 자산을 몰수하기 위한 조치"라고 비난했다.
한편, 이란 대통령은 미국 경제재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암호화폐 채굴 산업을 고려하고 있다.
최근 이란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국가 경제전략 회의에 참석한 중앙은행·에너지부·정보통신기술부 관계자들에게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규제, 세입 등의 새로운 국가전략을 수립할 것을 주문했다.
이 같은 발언은 국제제재로 국가 경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성장하는 채굴 산업에 대해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이 암호화폐를 통해 경제제재를 우회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친 바 있다.
이란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이란 내각이 암호화폐를 기존 '외환거래·화폐 밀수' 규정으로 엄격히 다루겠다는 법안을 내놓은지 이틀 만에 전해졌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이란 중앙은행으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현행 외환거래 가이드라인도 준수해야 한다. 이는 이란이 암호화폐를 통한 자금유출을 우려하고, 이를 단속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란은 상품 및 화폐 밀수를 벌금형이나 징역형으로 처벌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코인데스크는 "이란 정부가 향후 암호화폐 거래소를 폐쇄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것에 대한 선제적인 정당화 작업이다. 자본 유출을 막는게 목적"이라면서도 "이란에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제3국가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인허가 가이드라인이 어떻게 될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