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월 두나무로부터 분사한 람다256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 '루니버스'를 개발·운영하고 있다. 루니버스 플랫폼은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고성능 사이드체인과 각종 개발 툴을 각 기업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사는 블록체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루니버스는 국내·외 700개 고객사를 확보했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화폐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IDRT를 비롯해 야놀자와 신세계면세점 등이 참여한 포인트 마일리지 통합서비스 '밀크(Milk)', 종근당과 메가존이 참여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HAU 등이 있다.
이번 시리즈A 투자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 야놀자와 종근당은 루니버스 기반으로 운영되는 DID분산형 신원인증 포인트 등의 응용 서비스들의 고객사이자 공동 개발 파트너이기도 하다. 이들 전략적 투자사들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BaaS(Blockchain as a Service) 기술이 갖는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다.
람다256 박재현 대표는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는 연 평균 40% 가량 성장 중이고, 2027년 25조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시장"이라며 "국내 각 분야를 대표하는 투자자들과 함께 성장하는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의 선두주자이자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회사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 자회사 '그라운드X'는 최근 글로벌 금융혁신 비영리 협의체 '셀로 얼라이언스(Celo Alliance)' 신규 회원사로 합류했다.
셀로 얼라이언스는 미국 블록체인 금융서비스 셀로 재단이 이끄는 글로벌 연합체다. 페이스북 리브라와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기반 오픈 암호화폐 시스템을 통해 금융 소외계층에게 편리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클레이튼과 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 상호운용성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클레이튼의 클레이(KLAY)와 셀로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사용성 확보 등 디지털 자산의 활성화 확대에 집중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