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미키불(Mikybull)은 비트코인이 현재 조정 국면에 있지만, 과거 2018년부터 2014년까지의 계절적 패턴을 따른다면 새로운 사상 최고가인 12만 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2월 평균적으로 상승세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계절성 데이터를 고려하면 2025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라고 전했다.
2013년 이후 비트코인의 2월 평균 수익률은 14.08%로, 지난 10년간 단 두 번만 하락 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분기 평균 수익률은 52.43%로, 84%를 기록한 4분기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마켓 리서치 애널리스트 대니 마르케스(Danny Marques) 역시 최근 비트코인이 9만 1,000달러까지 하락한 것이 단기 바닥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예상보다 빠르게 12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며, 상승 속도도 가파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알프랙탈(Alphractal)은 비트코인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레버리지 거래를 지목했다. 플랫폼 측은 "2024년 10월 이후 비트코인 롱 포지션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7만 2,000~8만 6,000달러 구간에 유동성 공백이 발생했다"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8만 달러 이하로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2024년 11월 이후 쌓인 롱 포지션을 청산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반면, 2024년 12월 이후 11만 1,000달러 부근에서 다수의 숏 포지션이 형성되어 비트코인이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추가 상승 여력도 존재한다.
시장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760억 달러에서 590억 달러로 감소하면서 레버리지 활용도가 낮아진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이는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되었음을 의미하며, 비트코인의 단기 가격 변동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스트리트의 보도에 따르면 제프 라베르그(Jeff LaBerge) 비트디어(Bitdeer) 자본시장 및 전략 기획 책임자는 최근 비트코인이 9만 달러 중반과 10만 달러 사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는 "최근 발표된 금리 동결 계획과 새로운 미국 행정부 출범, 관세 조정 등 거시경제적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전통 시장의 '위험 지표' 역할을 하면서도 간혹 안전자산처럼 움직이는 특성이 있다”라며, “최근 비트코인은 가격 조정을 받았으나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