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경주APEC] 네이버, 엔비디아 손잡고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10/31 [19:00]

[경주APEC] 네이버, 엔비디아 손잡고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10/31 [19:00]

[경주APEC] 네이버, 엔비디아 손잡고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

 

이해진 "AI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 시대 도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플랫폼 결합 가상공간 구현

 

 

 

(서울=연합뉴스) 공동취재단 =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손잡고 산업 현장 인공지능(AI) 전환을 위한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OE)와 접견에 참석, 이같이 밝혔다.

 

이 의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자동차의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회사측은 이번 협력으로 AI 기술의 산업 현장 확장을 가속화하고, 제조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 산업별 특화 AI 적용 모델을 발굴,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기술이 빠르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 로보틱스 등 기술과 엔비디아와 '옴니버스', '아이작 심' 등 3D 시뮬레이션, 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현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하는 구조로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회사측은 전했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 중심의 AI 모델과 생태계를 구축하는 기술 주권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국가 핵심 산업과 일상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이라는 설명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산업 현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제조 산업의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오경석 두나무 대표, APEC서 한국 블록체인 금융 리더십 강조
이전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