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8,880억 달러가 넘었고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와 전문가들은 쉽게 1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올해 내내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결국 11월 25일(한국시간) 장중 한때 1,200억 달러마저 무너졌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들도 급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암호화폐 하락장 속에서도 주목할만한 암호화폐로 넴(XEM), 리플(XRP), 이오스(EOS), 비트코인(BTC), 아이오타(IOTA)을 꼽았다.
세계 1위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지난해 말 약 19,500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올해 내내 약세장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의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가능성, 세계적 펀드 운용 그룹 피델리티(Fidelity)의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custody servic), 세계 최대 거래소 그룹인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가 설립한 백트(Bakkt)의 현물 기반 비트코인 선물 거래 등이 본격화 되면 기관 자금이 유입될 전망이다.
리플(Ripple)은 다양한 은행들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하면서 계속 뉴스에 등장하고 있다. 특히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와 계약을 앞두고 있다는 루머가 상승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긍정론이 나오고 있다. 다만 리플은 세계 곳곳의 많은 대형 은행들과 연계돼 있지만 미국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오스(EOS)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일례로 블록체인 센터(Blockchain Center)에 따르면 이오스 네트워크 상에 온체인 트랜잭션(on-chain transactions)의 수는 다른 인기있는 암호화폐들을 앞섰다. 또 이오스는 중국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中国电子信息产业发展研究院, CCID)가 11월의 블록체인(区块链)과 가상화폐(虚拟货币) 기술 평가 순위를 발표한 가운데 6개월 연속 1위에 올랐다. 다만 비트멕스(BitMEX)는 보고서는 이오스가 댑(DApp, 분산애플리케이션) 생태계에서 이더리움(Ethereum)을 제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IoT(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을 연결해 스마트카, 스마트시티 등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계속해서 소개하고 있는 아이오타(IOTA)는 최근 프로토콜의 탈중앙화를 향한 중요한 단계가 될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제거할 계획을 밝혔고, 특히 최근 자동차 앱 개발업체인 하이 모빌리티(High Mobility)과 파트너십을 발표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끝으로 넴(XEM)은 지난 일주일 동안 가장 성과가 좋은 암호화폐로 꼽혔다. 앞서 지난 12일(현지시간)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Coincheck)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넴(XEM) 거래 재개를 발표하면서 급등했다. 이 거래소는 올해 초 해킹으로 인해 5억 달러 상당의 넴 토큰을 손실당했다.
한편 해외 암호화폐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오후 10시 45분 기준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은 3,898달러, 시가총액 2위 리플은 0.3575달러, 시총 5위 이오스는 3.31달러, 시총 11위 아이오타는 0.2845달러, 시총 15위 넴은 0.0662달러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