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CCID "2018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력 톱10 프로젝트 선정...리플·이오스·이더리움 등 포함
최근 중국 공신부 산하 연구원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公有链)의 3대 프로젝트(혁신력, 실용성, 기술력) 중 하나인 기술력에 대해 분석한 평가 보고서를 내놓았다.
7일(현지 시간) 중국의 블록체인 전문 매체인 후리엔마이보(互链脉搏)는 중국 공신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 工信部下属中国电子信息产业发展研究院)이 제2차~제8차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보고서의 평균치를 종합한 2018년 퍼블릭체인 기술력 부문 TOP10 프로젝트를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CCID는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ereum, 以太坊)의 네트워크가 막히면서, 퍼블릭 블록체인의 성능이 점점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일정한 보안성의 보장을 전제로, 일종의 탈중심화(去中心化) 희생점이 더 좋은 성능을 얻기 위해 점차적으로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개발의 공통된 선택으로 삼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CCID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평가는 기술혁신 및 응용을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 기술력 분야의 기술평가는 총계지수의 65%를 차지해 3대 프로젝트(혁신력,실용성,기술력) 중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력의 평가기준은 기능, 성능, 안전성 및 탈중심화로 선정했다”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기능분야에 대해, “이더리움의 출현이 튜링(Turing, 图灵)의 완전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智能合约)을 가지게 되면서 탈중심화의 방식을 위한 집행 등 진행이 가능하고, 블록체인 2.0의 발전을 이끌게 되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평가대상으로부터의 통계를 통해, 44.1%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디지털화폐의 계좌이체 등에 한해 지원이 가능하며, 26.5%는 디지털 자산 거래등의 전문적인 기능을 제공, 29.4%은 튜링의 스마트 협약 개발을 지원하면서, 특히 2년 가까이 새로운 시대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튜링의 스마트 계약을 보편적으로 지원했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로 선정한, 성능분야에서는 “TPS(초당거래 혹은 트랜잭션, Transaction Per Second)가 최근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발전의 중요한 관심사”라며 “통계를 근거로, 평가대상 중 평균 블록생성시간 109초(생성효율 EOS 블록당 최고 0.5초)로서, 평균거래의 0.17위안(2018년 12월 데이터 기준)이다”라고 분석했다.
세 번째로 선정한, 탈중심화의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탈중심화는 퍼블릭 블록체인 시스템 실현이 우선 원칙이지만, 탈중심화의 어려운 점을 완벽하게 해결해야 된다”라고 강조하면서 “특히, 우수한 성능을 추구하기 위해 다수 새로운 시대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불완전한 탈중심화라고 할 수 있으며, 심지어 편중심화의 유형에 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평가 대상의 통계에 따르면, “누구나 모두 균등하게 참여가능한 에스크로(Escrow, 구매자와 판매자 간 신용관계가 불확실할 때 제3자가 상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계를 하는 매매 보호 서비스) 경쟁이 완전한 탈중심화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47.1% 차지, (PoW, Pos와 PoW+PoS 공통기준) 약 20.6%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편중심화인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안전성 분야에서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퍼블릭의 안전성은 기본적인 구조, 서명 알고리즘, 코드의 질 등의 분야로부터 전개가 가능하다”라며 “안전은 퍼블릭 블록체인 발전과 응용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지만, 중대한 기술적인 혁신을 가져와야 하며, 많은 도전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기술력 기준 CCID가 선정한 상위 10개 퍼블릭체인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이번 평가에 TOP10으로 선정된 기술력 프로젝트(나열 순서는 순위와 무관함)는 비트쉐어(BitShare, 比特股), 이오스(EOS), 이더리움 (Ethereum, 以太坊), GX체인(GXChain,公信链), 네뷸러스(Nebulas, 星云链), 네오(NEO), 온톨로지(本体, Ontology), 리플(Ripple, 瑞波链), 스팀(Steem, 斯蒂姆链), 스텔라(Stelar, 恒星链)로 선정되었다.
한편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평가 업무는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의 산하인 사이디(청도)블록체인 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2018년 5월부터 시작돼 평가결과는 월마다 발표, 2018년 총 8차(期)의 평가 지수를 발표했다.
※관련 기사: 中 CCID "2018 퍼블릭 블록체인 실용성 톱10 프로젝트 선정…이더리움·이오스·스텔라 등 포함 中 CCID "2018 퍼블릭 블록체인 혁신력 톱10 프로젝트 선정...비트코인·이더리움·이오스 등 포함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