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10일 블록체인 동향]카르다노 에이다 창시자 "셸리·고겐, 올해 모두 출시될 것" 外

김진범 | 기사입력 2019/04/10 [14:57]

[10일 블록체인 동향]카르다노 에이다 창시자 "셸리·고겐, 올해 모두 출시될 것" 外

김진범 | 입력 : 2019/04/10 [14:57]

 

리히텐슈타인 은행, 비트코인·이더리움 자산 추적 서비스 출시

 

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유럽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업은행 뱅크프릭(Bank Frick)이 핀테크 회사 비트코인 스위스(Bitcoin Suisse)와 손잡고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자산 트레커(tracker, 추적)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뱅크프릭은 토큰 또는 증권 형태의 자산 증명서를 발급을 담당하며, 비트코인 스위스는 자산 브로커와 글로벌 거래소를 통한 비트코인, 이더리움 거래를 지원할 방침이다. 해당 트레커 서비스는 기관투자자 또는 합법적 라이센스를 갖춘 전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뱅크프릭은 1998년 설립된 은행으로 2017년 기준 약 630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며 38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금융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 Bank Frick 트위터 갈무리     © 코인리더스

 

 

카르다노 창시자 "셸리·고겐, 올해 모두 출시될 것"

 

9일(현지시간) 금융 및 암호화폐 전문 매체인 에프엑스스트리트(FXStreet)에 따르면,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9위)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은 최근 AMA(Ask me anything) 세션에서 "올해 카르다노의 두 번째, 세 번째 개발 단계인 셸리(Shelley)와 고겐(Goguen)이 모두 출시될 것이고, 계속해서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 두 단계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팀에서 관련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며 "셸리의 출시가 지연되어도 고겐 개발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세계 1위 유튜버 퓨디파이, 블록체인 스트리밍 플랫폼 '디라이브'와 독점계약

 

스웨덴 출신의 유명 유튜버 퓨디파이(PewDiePie, 이날 오후 2시 40분 현재 구독자 93,725,082명)가 9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디라이브(DLive)와 독점계약을 체결했다"며 "오는 14일부터 유튜브가 아닌 디라이브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디라이브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한편 퓨디파이는 2013년부터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스웨덴 게임 방송 유튜버다. 2010년 유튜브를 시작해 2013년 구독자수 1,000만명을 넘기며 구독자 1위를 달성한 후 지금까지 정상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미 경제지 포브스는 퓨디파이가 지난해 1,550만달러의 유튜브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했다.  

 

▲ 퓨디파이 트위터 갈무리     © 코인리더스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전북도 스마트 투어리즘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자 선정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블록체인 기반의 전북도 스마트 투어리즘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자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총괄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며 수요부처는 전북도청으로 참여기관으로는 ‘나인이즈’와 ‘글로스퍼’가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관광정보와 All@전북(지역화폐) 사용정보를 전북도청, 전주시청, 한옥마을상인연합회에서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관광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전주 한옥마을을 시작으로 전라북도 내 시·군 지역 확산을 통해 선순환 구조의 관광 생태계 조성을 이룰 뿐만 아니라 관광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헬스케어 블록체인 LBXC, 제주도 바이오센터 공사 현장 공개…"로드맵 본격 시동"

 

줄기세포 기반의 글로벌 의료 블록체인 럭스바이오셀(LUX BIO CELL, LBXC)을 서비스하는 블록체인 기업 DBE(Digital Bio Exchange)는 10일 지난해 11월 23일 있었던 제주 셀뱅크 착공식 이후 시공현장 사진을 공개하면서, "로드맵 사업화에 본격 나섰다"고 밝혔다. DBE 관계자에 따르면 제주 럭스바이오센터는 빠르면 2019년 하반기에서 2020년 상반기에 착공이 완료될 예정이다. 럭스바이오센터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과정에 앞서 채취된 줄기세포의 안전한 보관을 위한 셀 뱅크(Cell Bank)와 줄기세포 연구를 위한 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줄기세포는 현재 면역강화, 통증개선, 미용 목적의 안티에이징 시술 등은 물론 난치성 희귀질환 치료에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시대의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에서 관심 받는 키워드 중 하나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