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체인널리시스 "랜섬웨어 공격자 64%, 암호화폐 거래소 통해 돈세탁”

이선영 | 기사입력 2019/06/03 [15:44]

체인널리시스 "랜섬웨어 공격자 64%, 암호화폐 거래소 통해 돈세탁”

이선영 | 입력 : 2019/06/03 [15:44]

 



랜섬웨어(ransomware) 공격을 통한 부정 수익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세탁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컴퓨터 파일을 인질로 삼아 돈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다. 랜섬웨어는 감염된 컴퓨터의 파일들을 암호화하고 돈을 지불할 때까지 파일을 열 수 없게 만든다. 최근 암호화폐를 대가로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 사례도 크게 늘고 있다.

 

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기반 블록체인 인텔리전스 기업 체인널리시스(Chainalysis)는 랜섬웨어 관련 자금 64%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세탁됐다고 밝혔다.

 

정부, 사법 당국, 기업에 블록체인 분석 툴을 지원하는 체인널리시스는 랜섬웨어 공격 관련 주소에서 자금이 흘러 들어간 38개 거래소를 분석해 범죄 자금의 현금화 방식을 확인했다. 대상 거래소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

 

분석 결과, 랜섬웨어 자금의 64%가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세탁됐다. 12%는 거래 기록을 감춰 출처 확인을 어렵게 하는 ‘믹싱 서비스(mixing service)’를 이용했으며, 6%는 P2P(개인 간)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다크웹(dark web)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경우도 있었다. 미처리된(unspent) 자금은 9%다.

 

체인널리시스는 랜섬웨어 관련 자금이 해킹 관련 자금보다 단순한 현금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킹이 발생하면 많은 감시와 주목을 받기 때문에 현금화 과정이 더 치밀하고 복잡해진다.

 

체인널리시스는 랜섬웨어 공격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전에는 다수를 대상으로 적은 금액을 요구했다면, 현재는 법적, 정치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기밀 데이터를 공격해 높은 값을 부르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한편 코브웨어(Coveware)의 2019 글로벌 랜섬웨어 마켓플레이스 보고서에 따르면 랜섬웨어 지불금 98%가 비트코인(BTC)으로 처리되며, 지불금 평균 금액은 작년 4분기 6,733달러, 올해 1분기는 1만 2,762달러로 89% 상승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