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日 상반기 경상흑자 59% 급감한 46조원…8년 만에 최소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11/09 [09:58]

日 상반기 경상흑자 59% 급감한 46조원…8년 만에 최소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11/09 [09:58]



일본 재무성은 2022회계연도 상반기(4∼9월) 경상수지 흑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6% 감소한 4조8천458억 엔(약 45조9천6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발표했다.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014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현지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엔화 약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에너지 관련 수입액이 늘면서 흑자 폭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부문별로는 상품수지가 상반기 사상 최대인 9조2천334억엔 적자를 기록하면서 경상수지 흑자 폭을 줄였다.

 

원유와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국제가격 상승으로 수입은 이 기간 47.1% 늘어난 58조7천556억 엔을 기록했지만, 수출은 21.3% 증가한 49조5천222억 엔으로 수입액만큼 늘지 않았다.

 

한편 세계적 기준금리 인상 흐름에 맞서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초저금리 기조를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27∼28일 열린 BOJ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참가자들은 초저금리 정책의 부작용과 향후 출구전략의 영향을 검토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회의에서는 단기금리를 -0.1%로 동결하고, 10년물 국채 금리 상단을 0.25% 정도로 유지하기 위해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는 강력한 금융완화 기조 유지를 결정한 바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는 당시 기자회견에서 "2% 물가 상승이라는 목표 실현을 향해 필요한 시점까지 금융완화를 지속하겠다"며 "필요하다면 주저하지 않고 추가 금융완화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회의 의사록 요약본에 따르면 참석 위원 9명 가운데 다수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따른 가계의 생활비 압박을 임금 인상분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현재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최근 비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신호가 커지는 데 주목하는 의견도 나왔다. 한 위원은 "인플레이션의 지나치게 과도한 상승(오버슈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또 "향후 (초저금리에서 벗어나는) 출구전략이 어떻게 시장에 영향을 미칠지, 또 시장참여자들이 그에 대해 잘 대비돼 있을지 검토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른 위원은 지금 당장 통화정책을 수정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BOJ가 통화완화 정책의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로이터는 이에 대해 초저금리 정책 고수를 강조하는 구로다 총재와 초저금리 출구전략 논의에 개방적인 다른 위원들 간의 견해차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도 일본은행은 경기 회복을 뒷받침한다며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의 9월 근원 소비자물가는 최근 8년 새 최고인 3.0%의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올해 들어 26% 넘게 급락하면서 수입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의 지난달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55%가 BOJ의 초저금리 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히는 등 여론도 악화하는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는 구로다 총재가 퇴임하는 내년 4월 이후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