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앙은행(ECB)의 지난달 0.75%포인트 금리 인상 당시 통화정책위원 대다수가 이를 지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CB가 내놓은 지난달 ECB 통화정책회의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대다수 위원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해결하기 위해 0.75%포인트 인상을 주장했고, 0.5%포인트 인상을 주장한 위원들은 '어느 정도'(a few) 있었다는 것이다.
ECB는 지난달까지 2회 연속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2.00%까지 올렸다. 이는 유로화 도입 이후 가장 빠른 금리 인상 속도다.
지나치게 높은 인플레이션과 이로 인한 중기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될 수 있다는 위험을 고려하면 0.75% 포인트 인상은 적절한 대응이라고 대다수 위원은 판단했다.
반면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지지한 위원들은 금리 외에 다른 긴축정책들도 함께 진행 중임을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이제 관심은 ECB가 다음 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통화 정책을 다소 완화할지 여부에 쏠리고 있다.
치솟는 물가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10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기보다 10.7%나 급등했으며, 다음 주 11월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자벨 슈나벨 ECB 집행이사는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을 내놨다.
슈나벨 이사는 이날 영국 런던에서 한 연설을 통해 물가 상승이 빠르게 완화될 것이라고 가정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을 과소평가하는 것이 중앙은행들에 가장 큰 위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 수준으로 돌아오도록 하고 물가 상승에 따른 2차 효과가 현실화하지 않도록 하려면 금리를 더욱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슈나벨 이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를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대해서도 경고했다.
그는 "보조금과 같은 재정 조치는 중기 물가 상승률을 더 높일 위험이 있다"며 "이는 결국 재정 부양책이 없다면 적당하다고 여겨질 수준 이상까지의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