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나스닥, 2001년 이후 '최고의 1월' 보내…비트코인도 2013년 이후 최고 상승률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3/02/01 [12:02]

나스닥, 2001년 이후 '최고의 1월' 보내…비트코인도 2013년 이후 최고 상승률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3/02/01 [12:02]


미국 나스닥지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마무리가 가까워졌다는 낙관적인 기대 속에 2001년 이후 '최고의 1월'을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나스닥지수는 이날 1.67% 오른 11,584.55로 거래를 마감해 1월 한 달 동안 10.6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12%가 오른 2001년 1월 이후 1월 수익률로는 최고치이며, 지난해 7월 이후 최대 월간 상승 폭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다우지수도 1월 한 달간 각각 6.18%와 2.83% 올랐다.

 

S&P 500지수의 1월 상승률도 2019년 1월 이후 가장 컸다.

 

지난해 부진을 겪었던 뉴욕증시가 연초인 1월에 다른 평월보다 주가가 더 오르는 경향을 말하는 '1월 효과'를 누리면서 올해 장세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카슨 그룹의 리안 데트릭은 1954년 이후 전년에 S&P 500지수가 하락했다가 이듬해 1월에 주가가 5% 이상 오른 5번의 사례에서 지수가 그해 평균 30% 올랐다고 설명했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도 나스닥 지수의 경우 1월에 10% 이상 오르면 그해 나머지 기간에도 주가가 평균 14% 상승했다고 소개했다.

 

WSJ은 그러나 1월 장세가 그해 장세를 보여준다는 격언처럼 올해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길 기대하고 있지만, 연준이 금리 인하로 전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고 전했다.

 

연준은 1일 마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폭을 0.25%포인트로 축소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하지만 시장은 금리 결정 후 나올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이 여전히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일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피두서리 트러스트 컴퍼니의 한스 올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실업률이 3.5%에 그치고 매달 2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추가되는 상황이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이 끝났다고 보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현실보다 앞서가고 있다면서 "'마지막 100야드'가 매우 힘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STOXX) 600지수는 이날 0.3% 하락했지만, 1월 전체로는 6.7% 상승했다.

 

독일 DAX지수도 1월에 8.7% 상승하면서 1년여 전에 기록한 역대 최고치에 7% 차이로 근접했다.

 

한편 비트코인은 지난 1월 40% 가까이 폭등해 1월 상승률로는 2013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1일 오후 12시 1분 현재(한국시간 기준)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보다 1.05 상승한 2만3118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최고치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