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가 비트코인(BTC·시총 1위)이 장기적으로 14만 6,000달러까지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건은 최근 투자자 보고서에서 "금 민간 투자 부문에 견주려면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현 수준인 5,761억 달러보다 4.6배 커져야 한다"며 "이때 이론적인 비트코인 가격은 14만6000달러"라고 진단했다.
은행은 추가적인 자금 유입으로 비트코인 시장이 금 투자 시장만큼 성장하고, 비트코인이 금에 준하는 대안화폐로 자리하면 14만6,000달러 이상의 가격 상승이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이러한 전망은 비트코인의 변동성 감소에 달려있다. 비트코인 변동성이 금 변동성에 수렴해 더 많은 기관 투자 유입을 촉진해야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JP모건 투자전략가들은 "비트코인과 금의 변동성 동조화는 다년간에 걸쳐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때문에 "14만6000달러 이상은 장기적인 목표가로 봐야 한다"면서 "연내 이같은 수준을 지속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비트코인 가격은 4배 이상 급격히 증가했다.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달러 약화 및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예상되면서, 비트코인을 헤징 방안으로 보는 인식이 크게 확산됐기 때문이다.
폴 튜더 존스, 스캇 미너드, 스탠 드러켄밀러 등 많은 유명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투자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상승장에서도 일반 투자자 및 추세 추종 퀀트펀드가 지속불가능한 가격 거품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JP모건 전문가들도 투기적 성격의 롱 포지션 누적, 소액 비트코인 투자 월렛 증가 등 거품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투기성 매니아들이 합의된 범주인 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까지 가격을 상승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이같은 수준은 지속될 수 없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상당 수준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지난 주말 3만4000달러 선을 돌파했다가 4일 17%가량 크게 하락했다. 이후 지난 24시간 동안 단기 급등을 보이며 장중 34.000달러선을 회복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