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을 통해 주소지가 아닌 곳에서도 유권자가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할 전망이다.
25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인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구 외부에서도 유권자들이 투표를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 세계 최대 민주주의 선거로 꼽히는 인도 선거는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 2019년 인도 총선에는 8억여 명이 넘는 유권자 중 6억여 명이 참여했다. 선거는 4월 11일부터 5월 19일까지 38일에 걸쳐 진행됐고, 개표는 투표 마감 이후 6일 만에 이뤄졌다.
또한 인도는 극히 제한된 시민에게만 부재자 투표 기회를 제공해, 선거구 외부로 나가있는 유권자들은 사실상 선거권이 주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와 함께 투표권 매매, 유권자 실종, 투표 거부 등으로 인도 국민의 15%가 유권자 명단에도 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인도 선거관리위원장은 이러한 투표 참여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인도 정부과학자문위원은 선거위원회에 "부재자투표에 도입하기 앞서 소규모 블록체인 투표 실험을 실시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인도 선거관리위원장 수닐 아로라(Sunil Arora)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이미 시작됐고, 가까운 시일 내에 모의테스트가 시작될 것"이라며 "해외에 있는 인도 국민도 투표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당국은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을 통해 투표소에 올 수 없는 많은 유권자들이 손쉽게 부재자 투표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신원 확인과 투표 검증 수준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해당 선거 시스템은 유권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개인 맞춤형 전자투표 용지를 생성한다. 이후 투표가 실시되면 투표용지가 안전하게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해시태그가 생성된다. 해시태그는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전달되고, 후보자와 정당에 전송된다.
다만 선거관리위원회는 "해당 시스템이 집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라며 "지정된 선거구에서 투표를 하지 않아도 될 뿐, 지정된 투표 장소에서 투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프로젝트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면서 "투표자가 새로운 방식을 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신청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