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국내 게임·IT 주식부호 평가액 '반토막'...암호화폐 부호 17인, 올해 자산 149조원 증발

김진범 기자 | 기사입력 2022/12/25 [09:11]

국내 게임·IT 주식부호 평가액 '반토막'...암호화폐 부호 17인, 올해 자산 149조원 증발

김진범 기자 | 입력 : 2022/12/25 [09:11]

▲ 답변하는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올해 주식시장의 하락장세가 이어지며 국내 주식부호 상위 100명의 지분가치가 1년 새 37조8천384억원가량 사라졌다.

 

특히 게임·IT서비스 업종 주식부호들의 평가액이 반 토막 났다.

 

2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이달 23일 종가 기준 국내 상장사 개별 주주별 보유주식 및 지분가치를 조사한 결과, 주식부호 상위 100인의 지분가치는 102조3천8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주식부호 100인의 지분가치(140조1천468억원)보다 27.0% 감소한 것이다.

 

올해 주식부호 상위 100명 중 75명의 지분가치가 작년 말보다 감소했으며, 평가액이 1조원 이상인 주식부호는 23명으로 작년 말보다 6명 줄었다.

 

특히 게임·IT 서비스 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김범수 카카오 센터장이 보유한 지분가치는 이달 23일 기준 3조1천56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52.6%(3조4천955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김대일 펄어비스 의장, 박관호 위메이드 의장이 보유한 지분가치 역시 각각 69.7%(2조2천704억원), 80.9%(2조1천355억원) 급감했다.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보유한 지분가치도 1년 새 61.9%(2조23억원) 감소했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의 지분가치 역시 1조원 이상 감소했다.

 

지분가치 기준 상위 1∼4위는 삼성가(家)가 차지했다.

 

23일 종가 기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가치는 12조1천949억원이었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14.1%(2조48억원) 감소했지만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은 7조4천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말과 비교하면 35.9%(3조9천367억원) 급감한 것이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지분가치 5조8천206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505억원)은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이들 삼성가가 보유한 지분가치는 1년 새 8조5천949억원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건희 선대회장으로부터 받은 유산의 상속세 납부를 위해 주식을 일부 처분한 데다 대표 보유 종목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급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CEO스코어는 설명했다.

 

한편 포브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 부호 상위 17인의 자산이 올해 3월 이후 9개월 만에 1160억 달러(약 148조 9천억원)가 날아갔다. 

 

특히 암호화폐 업계 최대 부호인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의 자산은 지난 3월 650억 달러에서 이달 45억 달러로 급감했다. 

 

이외에도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전 CEO, 개리 왕 전 FTX CTO,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창업자인 베리 실버트(Barry Silbert) 등이 백만장자 지위가 박탈됐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