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글로벌 통신사 로이터는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ING은행이 암호화 자산 커스터디(수탁·custody) 서비스 지원을 위해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라 보도했다.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표가 은행 고객에게 안전한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 전했다. 기술 개발은 암스테르담에서 진행 중이며,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ING는 "자산 담보 디지털 자산 및 증권 토큰 관련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은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고객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ING는 블록체인을 유망 기술로 평가해 관련 이니셔티브에 다수 참여 중이다. 블록체인 무역금융 프로젝트 '마르코폴로'와 코다 기반 신용장 거래 간소화 플랫폼 '볼트론' 실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블록체인 전문 개발팀을 조직해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아직 암호화폐 커스터디 사업에 관여하는 금융기관은 많지 않다.
현재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 Investments)'의 암호화폐 부문 계열사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 서비스(FDAS)'가 뉴욕에서 암호화폐 커스터디 사업을 진행한다. 세계 최대 거래소그룹 ICE 산하 비트코인 선물 거래소 백트(Bakkt)도 기관투자자 상대로 한 합법적인 커스터디 서비스를 출시했다.
그 외 스위스 시중은행 줄리우스베어(Julius Baer), 아랍은행 스위스 지사 등 소규모 은행은 고객 유치 방편으로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노무라 은행은 기관급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를 내년 1분기에 출시할 계획이라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가 신한은행, 우리은행과 함께 기술협업을 진행 중이다. KB국민은행 역시 블록체인 기술기업 아톰릭스랩과 커스터디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