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北, '다크코인' 모네로 채굴 전년보다 10배 증가…"비트코인 보다 매력적으로 느껴"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0/02/13 [19:00]

北, '다크코인' 모네로 채굴 전년보다 10배 증가…"비트코인 보다 매력적으로 느껴"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0/02/13 [19:00]


작년 5월 이후로 북한의 암호화폐 모네로(XMR) 채굴이 전년보다 10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보안업체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비트코인(BTC), 라이트코인(LTC) 등의 암호화폐 채굴과 절취,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대표적인 프라이버시 암호화폐 모네로 채굴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모네로는 익명성이 강화된 대표적인 ‘다크코인’ 중 하나다. 다크코인은 블록체인에 송금인과 수취인, 송금 액수 등이 모두 공개되는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링 시그니처(ring signature), 스텔스 주소(stealth address) 등 익명성 강화 기술을 사용해 이를 숨길 수 있다.

 

이 같은 다크코인은 모든 거래에서 사용자 개인정보를 숨겨 누가 얼마나 많은 돈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냈는지 파악하거나 추적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모네로는 자금세탁, 마약 구입 등의 범죄 활동에 활용되기도 한다.

 

모네로의 네트워크 합의구조는 비트코인(BTC)과 같은 작업증명(PoW)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채굴을 통해 암호화폐를 얻을 수 있다.

 

보고서는 "2019년 5월 이후 북한의 모네로 채굴이 전년과 비교해 10배나 늘었다"며 "모네로는 비트코인(BTC)보다 익명성이 강하고 채굴이 쉬워 북한에게 더 매력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암호화폐는 느슨한 규제를 통해 북한이 불법적으로 획득한 자금의 이동과 사용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북한은 자금추적을 피하기 위해 여러 나라를 경유시키고, 서로 다른 코인으로 환전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작년 1월 1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터넷프로토콜(IP)과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 인터넷 사용률이 30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현재 북한은 주민의 인터넷 접근을 철저히 차단하고 내부 통신망(인트라넷) 사용만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 북한 고위층과 극소수 기관만을 위한 도구로 활용돼 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3년간 사이버 절도와 암호화폐 채굴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해왔다. 아울러 미사일 개발과 사이버 활동 관련 행적을 감추는 기술도 향상시켰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북한이 서방의 금융제재를 피하기 위해 새로운 인터넷 기반 모델을 개발했다고 평가된다"면서 "특히 이 모델은 다른 나라 은행을 상대로한 자금 탈취, 암호화폐 탈취와 사용 등에 활용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제재를 피하기 위한 북한의 인터넷 사용 방법이 베네수엘라, 이란, 시리아와 같은 다른 고립된 국가들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같은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암호화폐 채굴 관련 규제를 수립하지 않을 계획이라 발표했다.

 

1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경제의 디지털화를 담당하는 디지털전환부는 암호화폐에 대한 국가의 접근방식 및 주요 원칙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해당 분야에서 정부의 목표는 디지털화, 디지털 경제, 디지털 혁신, 전자 정부, 전자 민주주의, 정보화 사회에 관한 국가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암호화폐, 블록체인, 토큰화, 인공지능의 발전을 보장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디지털전환부는 채굴 작업이 블록체인 합의 매커니즘을 통해 자동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규제를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채굴 작업이 개방형 탈중앙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활동"으로 "자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참여자가 직접 규제한다"면서 "정부 또는 외부기관의 규제가 불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분산원장의 개발과 시장 도입을 돕고 기존 규제를 적용할 수 없거나 법률 정의가 없는 디지털 혁신 기술도 지원하겠다. 블록체인 산업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를 실시하겠다"고도 덧붙였다.

 

현재 우크라이나 의회는 암호화자산을 보유한 개인과 법인에게 세율 5%를 적용하는 우호적인 과세 법안을 준비 중이다. 또 FATF 권고 지침에 따라 1200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거래를 추적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할 방침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