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위기의 자영업자"…대출연체 15조·6곳 중 1곳 빚 안고 폐업

남현우 기자 | 기사입력 2024/08/25 [08:51]

"위기의 자영업자"…대출연체 15조·6곳 중 1곳 빚 안고 폐업

남현우 기자 | 입력 : 2024/08/25 [08:51]



자영업자(이하 개인사업자)들의 대출 연체 금액이 1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65만5천곳이 평균 1억원의 대출을 해결하지 못한 채 폐업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한국신용데이터의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884조4천억원을 기록했다.

 

328만5천명의 개인사업자들이 은행권에서 570조1천억원을,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여신전문업체 등 비은행권에서 314조3천억원을 빌려 쓰고 있다.

 

대출액 기준으로 보면 약 2/3를 은행권에서, 1/3을 2금융권에서 조달한 것이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은 총 15조5천억원 상당의 대출을 연체(5만원 이상, 10일 이상 원금·이자 연체 금액의 합계)하고 있었다.

 

18만6천명의 자영업자들이 은행권에 5조9천억원, 비은행권에 9조6천억원 상당의 대출을 연체하고 있다.

 

정상적인 대출은 은행권이 주류를 이루지만 연체대출은 대출금리가 대개 연 10%를 훌쩍 넘는 비은행권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367만3천 사업장 중 65만5천곳은 1분기 기준으로 폐업 상태였다.

 

폐업 사업장의 평균 대출 잔액은 9천570만원, 연체금액은 812만원이었다. 대출 보유 사업장 6곳 중 1곳이 약 1억원의 대출을 그대로 안고 폐업 상태인 셈이다.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사업장 중 폐업한 곳은 5만2천곳이었다. 전체 대출 사업장 중 폐업 사업장 비중이 19.6%나 됐다.

 

한계에 몰리는 자영업자들이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으로 향하는 점을 고려하면 여러 금융업권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의 비중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사업장당 1분기 매출액은 4천317만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7%, 영업이익은 915만원으로 23.2% 줄었다. 소비 부진의 깊은 골이 개인사업자들의 경영 상황 악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술집과 카페, 한식, 중식, 패스트푸드 등 외식업과 유통업 등 업종은 특히 매출이 크게 줄어든 업종으로 분류됐다.

 

한국신용데이터는 3월 31일 기준 한국신용정보원 기업 신용공여 원장에 나타난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를 토대로 이같은 데이터를 추출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