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아이폰 25% 관세에 "삼성 등 해외생산 다른기업도 해당" "6월 말께 시작될 것…해외에서 만들고 관세 없이 美 판매 불가" 對EU 50% 관세에 "협상용 아냐…이제 내 방식대로 게임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해외에서 생산된 애플 아이폰에 대한 최소 25%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 삼성 등 해외에서 생산돼 수입되는 다른 휴대전화에도 똑같이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행사에서 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해 한 회사만 특정해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있는지와 미국 기업을 겨냥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관세 부과 대상이) 더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삼성이나 제품을 (해외에서) 만드는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것은 아마 6월 말께 시작될 것이다. 우리는 6월 말까지 그것을 적절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해 휴대전화에 대한 관세를 내달 말부터 부과할 것임을 내비쳤다. 그는 "그들(업체)이 이곳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것과 관련,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럴 경우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는 할 수 없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면서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관세 협상을 책임지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지난달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음달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한 자신의 발언과 관련, EU가 통상 관계에서 미국을 악용했다는 주장을 반복한 뒤 "이제 내가 아는 게임 방법으로 게임을 해야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50% 관세 위협' 발언과 관련해 관세 유예기간인 90일 내 협상하길 희망하느냐는 질문에 "협상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협상 (내용을) 정한다. 그것은 50%"라면서 "만약 그들이 공장을 이곳에 짓는다면 관세가 없다"는 말을 반복했다. 그는 또 "만약 누군가 미국에 공장을 짓길 희망한다면 나는 그들과 (관세 부과를) 살짝 연기하는 것에 대해 대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50% 관세 문제와 관련해 조치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묻는 말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 보겠다"면서 "그러나 현재로 그것은 6월 1일에 진행될 것이다. 그것이 현 상황"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영국, 중국 등과의 무역 협상을 거론한 뒤에 "우리는 서명할 준비가 돼 있는 많은 다른 협상들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밖에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학교 외에 다른 대학에도 외국 유학생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많은 것을 살펴보고 있다"고 답한 뒤 "하버드대는 운영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