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中 11월 소매판매 5.9%↓, 상하이 봉쇄 이후 최악...산업생산도 둔화세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12/15 [13:38]

中 11월 소매판매 5.9%↓, 상하이 봉쇄 이후 최악...산업생산도 둔화세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12/15 [13:38]



중국의 11월 소매 판매가 작년 동월 대비 5.9% 감소했다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15일 밝혔다.

 

이는 소매판매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지난 10월(-0.5%)보다 훨씬 더 떨어진 것으로 시장 전망치(-3.7%)보다 낮다.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은 상하이 전면 봉쇄가 이뤄졌던 지난 5월(-6.7%)에 역성장했다가 6월부터 플러스로 전환됐으나, 10월과 11월에 연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지난 10월 16일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와 그 이후 11월에도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바탕을 둔 고강도 방역이 유지돼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중국의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2.2%로 10월 증가율(5.0%)과 시장 전망치(3.6%)보다 낮았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9월(6.3%) 이후 둔화세를 보인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상하이 봉쇄 여파로 4월(-2.9%)에 마이너스로 떨어진 뒤 5월 0.7%로 반등했다. 이후 6월 3.9%, 7월 3.8%, 8월 4.2%로 올랐다.

 

중국의 산업생산은 공장, 광산, 공공시설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것으로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과 평균 소득 등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아울러 1∼11월 누적 고정자산투자는 5.3%로 1∼10월 누적치(+5.8%)와 시장 전망치(+5.6%)보다 낮았다. 고정자산투자는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국가통계국은 이날 실물지표를 발표하면서 "경제회복 기초가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