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22일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에 힘입어 1% 이상 상승하며 2,350대로 올라섰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7.78포인트(1.19%) 오른 2,356.73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1.05포인트(0.47%) 오른 2,340.00으로 개장해 오전에는 2,340선 안팎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상승 폭을 키우면서 2,350대에 안착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5천658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지수가 모처럼 유의미한 상승 폭을 나타내자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도 44억원 어치 순매도하며 지난 19일 이후 4거래일 연속 '팔자'를 나타냈지만 규모는 1천억원대를 나타냈던 지난 20∼21일에 비해 크게 줄었다.
기관 홀로 5천854억원 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의 동력이 됐다.
이날 국내 증시는 지난밤 예상보다 강한 소비 지표에 환호했던 미국 증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시는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메시지가 나온 후 크게 밀렸으나 21일(현지시간) 12월 미 소비자신뢰지수 발표와 주요 기업들의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어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이었다.
미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8.3으로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01)를 크게 상회해 지난 4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여기에 나이키와 페덱스의 실적 호조도 투자 심리에 훈풍을 몰고 왔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0% 오르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1.49%)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1.54%)도 큰 폭으로 오른 채 마감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소비자 신뢰지수 개선에 힘입어 경기 침체 이슈가 완화해 상승한 점은 한국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나흘 연속 '팔자'를 보인 외국인의 수급 방향이 아쉽다는 분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금융투자 중심으로 현물 순매수세가 유입돼 상승하며 미국 증시와 동조화한 모습이었으나, 외국인이 4거래일 연속으로 현물을 순매도하며 추가 상승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9.32포인트(1.32%) 오른 715.02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4.77포인트(0.68%) 오른 710.47로 출발해 점차 상승 폭을 키워나갔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 홀로 2천385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36억원, 1천757억원 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거래 대금은 각각 5조9천910억원, 4조3천73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지속하며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9.5원 내린 1,276.2원에 장을 마쳤다.
이는 종가 기준 지난 6월 10일(1,268.9원) 이후 약 6개월 만에 최저치다. 환율은 지난 19일부터 4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지속했다.
이날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0.7원 내린 1,285.0원에 개장한 뒤 낙폭을 키워 줄곧 1,270원대에서 움직임을 이어나갔다.
환율은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연말 네고(달러 매도) 물량의 유입으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특별한 재료 없이 수급상 매도 우위 국면이 지속되는 분위기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