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올해 美연준·월가 경제전망 빗나가…WSJ "내년 예상 밖 상황 대비해야"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12/27 [17:17]

올해 美연준·월가 경제전망 빗나가…WSJ "내년 예상 밖 상황 대비해야"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12/27 [17:17]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월가 금융기관 대다수가 1년 전 내놨던 올 한해 경제 전망이 크게 빗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내년 경제를 놓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시장에서 나오지만, 올해의 사례에서 배워야 하는 교훈은 '예상 밖 의외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평가했다.

 

지난해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지난 9월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연준 물가 전망치의 3배 가까운 6.6%로 치솟아 40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또 지난해 12월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기준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는 0.9% 안팎이었지만, 현재 기준금리 상단은 이미 4.5%까지 올라온 상태다.

 

또 올해 시장이 그저 그럴 것으로 봤던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빗나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연초 대비 19.3% 떨어지고 채권가격도 폭락하는 등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 수준의 1년을 보냈다.

 

WSJ은 올해 예상이 크게 빗나가면서 많은 기관이 불안감 속에 내년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기관별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고 전했다.

 

연준은 내년 상반기 0.75%포인트가량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이후 상당 기간 고금리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내년 미국 경제가 0.5% 성장하고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각각 3.1%,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내년에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또 기업들은 내년 경기후퇴 가능성을 경고하지만, 골드만삭스 등 일부 기관은 미국 경제가 경기후퇴를 피해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이번 달 펀드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내년에 전 세계 물가 상승률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약 90%에 달해 조사 실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었다는 기대에 따라 투자자들이 내년 시장 반등에 베팅하고 있으며, 펀드매니저들이 올해 낙폭이 컸던 채권 비중을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 전망을 반영하는 2년물 미 국채금리는 4.321% 안팎을 나타내 1%를 밑돌았던 연초보다는 여전히 높지만 최근 고점인 4.8% 수준보다는 내려온 상태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조사에서는 또 내년에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낮지만 일단 발생 시 시장에 큰 영향을 줄 '꼬리 위험'(Tail Risk)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을 꼽는 의견(37%)이 가장 많았다.

 

심각한 세계적 침체(20%), 중앙은행의 통화긴축 기조 유지(16%), 지정학적 긴장 심화(12%), 시스템적 신용 문제(12%) 등을 꼽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연준이 내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임금 비중이 큰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임금-물가 상승 악순환' 차단에 가장 집중할 것이며, 미국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내년 통화정책의 핵심 지표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올해 경제전망이 빗나간 것과 관련해 베어링스 인베스트먼트 인스티튜트의 수석 글로벌 전략갸인 크리스토퍼 스마트는 "우리는 모두 어느 정도의 겸손함을 갖고 내년을 맞이하고 있다"고 WSJ에 말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