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연준 인사들, '베이비스텝' 가능성 거론…12월 물가 주시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3/01/10 [11:53]

美연준 인사들, '베이비스텝' 가능성 거론…12월 물가 주시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3/01/10 [11:53]


지난해 초고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올해 첫 금리 결정을 앞두고, '빅 스텝'(0.50%p 인상)이 아닌 '베이비 스텝'(0.25%p 인상) 가능성이 연준 인사 사이에서 거론되고 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9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주최 행사 연설을 통해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논의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준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효과 간에 시차가 있다는 점은 0.5%포인트보다는 0.25%포인트 금리 인상의 논거가 될 수 있으며, 기존 금리 인상에 따른 효과를 보기 위해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좋은 생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해 4차례 연속 0.75%포인트 인상에 이어 지난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 기준금리 상단을 4.50%로 끌어올린 상태다.

 

그는 "데이터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 더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향후 나올 정보에 대응하고 그러한 정책 시차를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0.25%포인트나 0.5%포인트 인상 모두 논의 대상이고 0.5%포인트 인상을 배제하는 게 아니라면서, 오는 12일 발표될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판단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CPI 세부 항목 가운데 임금과 노동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주거비·식품·에너지 제외 서비스물가에 주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기준금리를 최종적으로 5% 위로 끌어올린 뒤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을 거론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연 5.5%에 달했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이 올해 말 3%대로 내리고 2025년께에야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돌아올 것으로 전망했다.

 

WSJ은 일부 연준 위원들이 지나치게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제가 필요 이상으로 둔화할 가능성을 우려해왔으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지표가 개선될 경우 0.25%포인트 인상을 더 강력히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해왔다고 전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이날 취재진과 만나 12월 CPI 상승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올 경우 0.25%포인트 인상을 더 진지하게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결국 내가 가고자 하는 것은 0.25%포인트"라면서도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시점은 향후 나올 데이터에 달려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보스틱 총재는 2분기 초 기준금리를 5% 위로 올린 뒤 장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면서, 2024년에도 금리 인하가 없을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주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우리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일하는 가운데 더 신중히 (금리를) 조정하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시카고 연은 총재직에서 물러난 찰스 에번스 전 총재는 금리 인상 폭을 0.25%로 낮추더라도 연준이 금리 인상을 끝낼 채비를 하는 것은 아니라면서 "0.25% 인상을 시작하되 여전히 (인상 사이클을) 끌고 갈 수 있다"고 봤다.

 

로이터는 연준 내에서 1970년대 섣부른 금리 인상 중단으로 더 큰 인플레이션을 불러왔던 실책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너무 빨리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인상을 중단하는 것을 기피하는 분위기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