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6.66포인트(1.11%) 오른 34,245.9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6.83포인트(1.14%) 상승한 4,137.29로, 나스닥지수는 173.67포인트(1.48%) 뛴 11,891.79로 장을 마감했다.
올해 들어 S&P500지수는 이날까지 7.8%가량 올랐다. 같은 기간 다우지수는 3.3% 상승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13.6%가량 반등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서 올해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하반기에 금리 인하에까지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기술주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나스닥 지수를 더 가파르게 끌어올렸다.
금리 상승은 미래 수익을 할인하고, 기업들의 차입 부담을 높인다는 점에서 그동안 고밸류에이션 주식인 성장주와 기술주에 부담이 돼 왔다.
이번 주 14일에는 이러한 인플레 추세를 확인할 CPI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월 CPI가 전월보다 0.4% 오르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6.2% 올랐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달인 12월 기록한 전월 대비 0.1% 하락과 전년 대비 6.5% 상승과 비교된다.
한편 JP모건은 미국 1월 CPI 결과에 따라 S&P 500 지수가 최대 3% 오르거나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JP모건 애널리스트는 "1월 CPI가 시장의 예측과 비슷하게 6~6.3% 범위의 상승률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가장 가능성이 작은 시나리오는 CPI 상승률이 6.5%를 상회하거나 6%를 하회하는 것이다. 확률은 모두 5%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CPI가 시장 예상치대로 나온다면 S&P 500 지수는 1.5~2.0% 가량 오를 것이며 이후 상승세가 시들해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CPI가 6.5% 보다 높게 나오면 인플레이션 추정치가 다시 올라가게 되는 것으로 S&P 500 지수가 2.5~3%가량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웰스파고 수석 전략가 크리스 하비(Chris Harvey)가 고객들에게 서한을 발송, 미국 증시가 약세장에 다시 진입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증시는 지난 10월 저점에서 탈출, 약세장을 벗어났다. 다만 새로운 강세장이 찾아오기까지 시간이 좀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약세장 종료가 새로운 강세장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단기간에 가파른 상승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