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지한, '쿠데타'로 비트메인 경영권 복귀..."왕의 귀환 vs 비트코인캐시 띄우려는 수작"
2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세계 최대 비트코인 채굴기 제조사 비트메인 공동창업자 우지한은 임직원 전체에게 “비트메인 내 잔커퇀의 모든 사내 직위를 즉각 해제한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발송했다.
우지한은 이메일을 통해 "비트메인 직원들은 잔커퇀의 업무 지시에 따르지 않음은 물론, 잔커퇀이 소집한 회의에 참석해서도 안 된다"며 "만약 이를 어길 시에는 회사 방침에 따라 해고 사유가 될 수 있다. 회사에 경제적 손실을 입힐 경우 민형사상 책임도 물을 것"이라 경고했다.
과거 비트메인 공동 대표로 함께 하던 우지한과 잔커퇀은 지난 3월 기업공개(IPO)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 재정 손실과 인력 해고 등을 겪자 나란히 자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그 이후 잔커퇀이 비트메인 경영에 개입하기 시작하자 우지한은 이에 불만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로 대표직과 이사회 집행이사직에서 잔커퇀을 퇴출시킨 우지한은 비트메인 상임이사와 대표직을 겸직하게 됐다. 경영권을 온전히 손에 넣은 우지한은 잔커퇀이 임명한 인사 담당자를 해임 조치한 뒤 창업 초기 우지한과 함께 일했던 인사 담당자를 임명했다.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른바 '우지한 쿠데타'는 잔커퇀 공동창업자가 행사 참여를 위해 광둥성에 간 틈을 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지한은 잔커퇀이 자리를 비운 사이 법인대표, 상임이사 명의를 잔커퇀에서 본인으로 변경했다.
이 같은 시도가 가능했던 이유는 비트메인 법인 인감을 우지한 비서가 보관해 왔기 때문이다. 또 잔커퇀이 추진한 인사개편으로 원로급 직원들이 대거 해고되자 불만을 갖게 된 비트메인 고위 임원들도 함께 힘을 보탰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채굴업계 주요 인사들의 반응이 엇갈렸다.
중국 유력 마이닝풀 ViaBTC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엑스(CoinEx) 창업자 양하이포(杨海坡)는 “우지한은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 기업 비트메인의 창업자이자, 비트코인 중국어 백서를 최초로 번역한 중국 업계 명실상부한 선구자"라며 “스티브 잡스가 그러했듯 우지한이 비트메인 제 2의 성공 신화를 만들 것”이라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우지한은 비트메인의 황금기를 열었지만 이후 쫓기다시피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비트메인은 무너졌고 우지한은 경영권을 되찾았다. 우지한의 진두지휘 아래 비트메인은 또 한번의 황금기를 맞이할 것”이라 전망했다.
중국계 대형 마이닝풀 BTC.TOP 대표 장줘얼(江卓尔)은 자신의 SNS를 통해 "비트메인 창업자 우지한이 경영 일선으로 복귀했다. 왕이 귀환을 환영한다"면서도 "비트코인캐시(BCH, 시총 4위)가 가고자 하는 큰 방향은 맞다고 생각한다. 다만 아직 BCH 네트워크의 규모가 충분히 크지 않고, 가격 변동성이 지나치게 심하다"며 비트코인캐시 지지자로 알려진 우지한의 향후 행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중국 암호화폐 1인 미디어 비스차오판서우(币市操盘手) 창업자 황한(黄瀚)은 메신저 위챗 모멘트에서 "잔커퇀 비트메인 공동 창업자는 50% 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투표권은 지분율보다 더 높다. 내부에서 배척을 당해도 주주총회를 열어 이사회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얘기"라며 "결국 이는 비트메인 해외주체 지배구조 개편이 이미 일어나고 있거나 인위적으로 BCH를 띄우려는 수작"이라 해석했다.
한편 비트코인 캐시(BCH) 가격은 우지한의 복귀 소식에 300달러를 넘어서는 급등세를 보였지만 이후 조정세를 보이며 31일(한국시간) 오후 4시 20분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약 28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