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 부총재 판이페이(Fan YiFei)는 국영기술위원회 회의에서 금융 산업에 응용될 신기술 관련 규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총재는 "금융산업을 위한 표준 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기존 체계는 산업 발전을 지원할만큼 명확하고, 강력한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개정이 필요하다"며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 인공지능을 포함한 17개 핀테크 부문에 대한 새로운 표준 체계를 수립해 규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모바일 금융 결제 플랫폼, 음성·이미지 인식 기술 표준에 대한 작업이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블록체인 육성 발언 이후로 산업 발전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전방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규제 하에 관리하기 위해 여러 장치도 마련 중이다.
실제로 중국의 블록체인 특허 누적 출원수는 7,600건으로 전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블록체인과 별개로 불법 암호화폐 활동을 막기 위한 강도 높은 수사가 이어지고 있다.
2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중국 선전시 인터넷금융 리스크교정 전담팀은 암호화폐 활동 관련 증거를 수집 중이며 이에 대해 엄중 조치할 계획이라 밝혔다.
선전시는 경고문을 통해 "중국이 2017년부터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와 암호화폐공개(ICO)를 전면 금지했기 때문에 암호화폐 관련 불법 활동 및 금융 리스크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또 중국 중앙당국이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지원함에 따라 암호화폐 투기가 살아나고 있으며, 관련 불법 활동도 재개 조짐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선전시는 "암호화폐 발행, ICO, 기술의 부분 차용, 현금이나 암호화폐를 통한 관련 자금조달, 암호화폐 거래소 등은 모두 불법"이라며 "불법 활동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라 밝혔다. 수사 결과 불법 행위가 발견되면 ‘보조 금융 발행 리스크 방지 공고’에 따라 불법 활동에 대해 강제 집행한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