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크리스틴 라가르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개인적으로 스테이블 코인 관련 흐름을 금융기관이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금융계가 응답해야 할 수요가 분명히 있다”고 밝혔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실물 자산이나 법정화폐에 가치를 연동시킨 암호화폐로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고안된 모델이다.
앞서 라가르드 총재는 국제통화기구(IMF) 총재이자 유럽중앙은행 총재 후보 지명자였을 당시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 환경에 금융기관들이 신속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총재는 “디지털 화폐를 포함한 신생 기술은 금융 안정성, 프라이버시, 불법 활동 등 리스크가 있으며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적절한 규제를 마련해 기술이 공익에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혁신이 가져올 더 큰 사회적 혜택을 인정하면서 해당 분야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 아우스틴 카르스텐스도 지난 6일 "중앙은행들이 디지털 화폐 혁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중앙은행들이 디지털 화폐 논의에 가장 앞장서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IMF의 경우 지난 9월 말 "스테이블 코인이 소비자와 사회에 상당한 유익을 끼칠 수 있지만 리스크가 동반될 것"이라 밝혔다.
기관은 "은행들이 중개기관으로서 역할을 잃을 수 있으며, 대중이 스테이블 코인 발행업체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은행 산업이 자체적인 혁신을 추진하며 경쟁할 것"이라며 업계 자체가 사라지진 않을 것이라 강조했다.
반면 2대 유럽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장 클로드 트리셰(Jean-Claude Trichet)는 암호화폐가 미래의 화폐라는 의견에 대해 의구심을 표했다.
전 총재는 "암호화폐 구입은 여러 측면에서 단순한 투기"라며 "암호화폐를 실제 자산으로 담보하더라도 여전히 상당한 투기 활동이 보이는 건전치 못한 현상"이라 평가했다.
라가르드 총재의 전임자였던 마리오 드라기(Mario Draghi) 전 총재도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스테이블 코인과 암호화폐는 가치가 거의 없다고 봤다. 그는 유럽중앙은행시스템(ESCB)이 암호화폐 산업 발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주요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Valdis Dombrovskis)은 “암호화 자산 및 스테이블 코인 관련 규정을 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EU 내 스테이블 코인이 활용되기 위해 법적 리스크가 우선적으로 해소되어야 한다는데 관계 부처 책임자들간 공감대를 이뤘다”며 “관련 규정을 제정하는 것은 현 업계 추세에 필요한 조치이자 스테이블 코인 활용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 설명했다.
이어 "공공 분야 디지털화폐 잠재 활용성 관련 유럽중앙은행(ECB) 등 정책 당국의 노력이 필요한 때"라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