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파라과이 자금세탁방지청(SEPRELAD)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부의 암호화폐 산업 이해도를 개선시킬 계획이다.
크리스티안 비야누에바(Christian Villanueva) 장관은 확보한 데이터를 통해 "파라과이의 가상자산 도입 수준, 시장 구조와 규모 등을 확인하고, 이를 적절히 관리해 관련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는 규제안을 마련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는 지난 6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제시한 암호화폐 관련 지침을 따르기 위한 조치다.
비공식 고용과 비기장 상거래가 많은 파라과이는 전체적인 규제 수준이 미흡하다. 하지만 자금세탁방지 적용대상을 가상자산 사업자로 확대한 FATF의 최총 규제 지침으로 인해 관련 기준 수립이 시급해졌다.
파라과이 자금세탁방지청은 내년 안에 FATF 지침을 이행할 수 있도록 규제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채굴업체, 장외시장(OTC) 거래데스크, 거래소 등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정부 등록이 의무화됐다. 또 테러자금조달 방지 프로토콜, 자금세탁방지 안정장치를 통해 고객 활동도 감시해야 한다.
파라과이 정부는 이번 조사 계획 발표와 함께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처음으로 재무정보 제출을 요구했다.
이번 실태 조사로 인해 자금세탁방지청 감독을 받지 않는 위험 산업으로 간주돼 계좌 이용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 접근도 어려웠던 암호화폐 부문이 정식 산업으로 인정되면서 더욱 안정적인 금융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OTC 서비스 '크리펙스(Cripex)' CEO인 호르헤 라미레스(Jorge Ramírez)는 "파라과이 가상자산 사업자들이 이미 법적으로 요구되는 수준 이상으로 자율 규제를 이행, 실명인증(KYC)과 자금세탁방지(AML) 관련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온건한 태도를 보였던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갑작스레 암호화폐 거래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암호화폐 시장이 당황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국가사업관리청(National Project Management Agency)은 인허가 받은 거래소에서도 더이상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앞서 우즈베키스탄은 암호화폐 거래소, 채굴 운영, 암호화폐공개(ICO)를 합법화하고, 정식 규제를 위한 라이선스 제도를 마련한 바 있다.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는 국가 블록체인 개발자금 ‘디지털트러스트(Digital Trust)’ 조성을 지시했으며, 공공행정 부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법령에 조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6일 대통령 직속 국가사업관리청이 암호화폐 사용을 제한하는 새로운 개정안을 채택하면서 암호화폐 매수가 금지됐다.
이와 함께 출처가 불확실한 암호화폐 전송 및 보유, 암호화폐를 통한 익명 거래와 결제도 금지됐다. 암호화폐 거래소는 만 18세 이상만 이용 가능하며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혐의가 없음을 입증해야 한다.
현재 보유한 암호화폐 거래만 제한적으로 허용됐다. 투자자는 자신이 가진 암호화폐를 인허가 받은 거래소 두 곳에서만 실명인증 절차를 거친 후 매도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정부의 감시를 피해서 해외 거래소에 접속할 수 있기에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광범위한 위법 행위 확산을 막기 위한 경고성 조치로 보는 견해도 나온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