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법률 전문가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은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XRP가 국가 준비 자산으로 채택될 가능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비트코인(BTC) 지지자들의 시각이 지나치게 암호화폐 중심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디지털 자산을 채택하는 기준은 ‘탈중앙화 여부’가 아니라, 경제적 안정성을 위한 전략적 보유 여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호건은 미국 정부가 XRP를 준비 자산으로 채택할 경우, 이는 미래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위험 회피) 목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정부가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XRP를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며, 이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이 간과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가 리플(Ripple)이 XRP 레저(XRP Ledger)를 위협할 경우 회사를 직접 통제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과거 미국 정부가 위기 시 특정 기업을 인수했던 사례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그는 정부가 리플의 에스크로 계정에 보관된 XRP를 압류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이는 1933년 프랭클린 루즈벨트(Franklin Roosevelt) 대통령이 금(Gold) 사재기를 금지하고 국가가 직접 금을 통제했던 사례와 유사하다는 분석이다.
현재 미국 정부는 디지털 자산 준비금을 공식적으로 결정하지 않았으며, 특정 암호화폐를 선택할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대통령 직속 워킹그룹이 디지털 자산 시장의 위험과 이점을 평가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180일 내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트럼프와 회동하며, 정부가 특정 암호화폐 한 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다중 자산 기반의 준비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미국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전략이 XRP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