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억만장자 투자자 스탠리 드러켄밀러(Stanley Druckenmiller)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54%에 달하는 보복 관세를 발표한 것과 관련해, “10%를 넘는 관세는 지지하지 않는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드러켄밀러는 지난 두 달 전 CNBC 인터뷰에서 이미 “10% 이내의 관세는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필요악일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의무지출과 이자 비용이 세수의 100%를 넘는다”며, 소득세나 소비세(관세)와 같은 수단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완벽한 세상이라면 관세도 반대하겠지만, 현재는 정부 지출 감축이 어렵기 때문에 세수를 확보해야 한다”며, 관세를 ‘외국인이 일부 부담하는 소비세’로 해석했다. 또한 “민간 저축률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상황에서, 관세는 재정 건전성 회복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드러켄밀러는 관세가 가져올 보복 위험성은 인정하면서도 “10% 이내로 유지되면 리스크는 제한적이며, 트럼프에 대한 외교적 경계심도 과장되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관세는 소득세보다 덜 해롭다”며 '두 가지 악 중 덜 나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동시에 중국을 포함한 수십 개국에 대해 최대 54%에 달하는 보복 관세를 4월 9일부터 발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폭시켰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