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6일, 퍼블릭 체인 기술 연맹은 18일 베이징에서 열렸던 퍼블릭 체인 기술 연맹 제3회 밋업에 이어 한국에서 첫 밋업을 진행했다.
이번 밋업의 첫 번째 패널로는 중국 블록체인 프로젝트 네뷸러스(Nebulas)의 연합 창시자 에어로 왕(Aero Wang),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지갑 보안 플랫폼 카이저 월렛(Kaiser Wallet) 대표 정인영, 한국 블록체인 플랫폼 플레타(FLETA) 대표 박승호, 차세대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DACC 대표 스카이(SKY)가 참여해 '한중 블록체인 업계에 대해'라는 주제로 의견을 나누었다.
이 자리에서 네뷸러스와 네오(NEO)의 연합 창시자인 에어로 왕은 한중 블록체인 업계의 베어마켓(약세장)과 비지니스 모델에 대해 “내가 겪은 3번째 베어마켓이지만 블록체인은 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이 시기에 더욱더 열심히 준비를 해야 한다. 이더리움(ETH)도 네오도 이런 시기에 잘 준비해 지금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카이저 월렛의 정인영 대표도 현재 암호화폐 시장 침체에 대해 “새로운 시장으로 넘어가기 위한 하나의 진통 과정이며, 새로운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로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퍼블릭 체인 생태계에 대해 플레타 박승호 대표는 “플랫폼끼리 서로 경쟁하는 경우가 많은데, 퍼블릭 체인들이 서로 소스를 공유하며 이 생태계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진 두 번째 패널로는 네뷸러스 한국 대사 류영훈, 스톰(Stom) 한국 매니저 김진우, 딜로이트 블록체인 컨설턴트 김재원이 '한국 커뮤니티의 중국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중국 프로젝트가 다른 지역 프로젝트에 비해 낮은 인지도를 높이려면 한국어 지원과 더 많은 온라인, 오프라인 마케팅이 필요하며 유저들을 위한 UX/UI 개발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편, 퍼블릭 체인 기술 연맹은 퍼블릭 체인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층, 월렛, 거래소, 커뮤니티, 매체 등으로 38곳의 프로젝트가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 한국 및 일본 프로젝트들이 가입된 상태로 향후 더 많은 곳의 프로젝트가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