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무성이 20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작년 동월 대비 2.8% 상승했다.
이는 2014년 10월 2.9%를 기록한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이다.
그러나 2014년 4월 소비세율이 5%에서 8%로 인상돼 물가지수에 반영된 효과를 제외하면 1991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라고 교도통신과 NHK는 전했다.
1991년은 일본의 '버블(거품) 경기'가 꺼져가던 시기로 주거비 등의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교도통신은 "소비자물가지수가 약 31년 만에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수입품 가격 상승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이후 국제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이 오른 상황에서 엔화 가치마저 급락해 수입 물가가 급등했다는 것이다.
일본의 소비자물가는 8월까지 5개월 연속으로 2%대를 기록했다.
교도통신은 "충분한 임금 인상이 확산하지 않는 가운데 생활필수품 위주로 가격 인상이 계속돼 가계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각의에서 물가 대책으로 올해 예비비에서 3조4천847억엔(약 33조8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저소득층 지원을 위해 주민세 비과세 가구에 가구당 5만엔(약 48만원)을 한 차례 지급한다. 전체 가구의 약 4분의 1 수준인 1천600만 가구가 대상이 되고 총사업비는 8천540억엔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기름값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지급하는 보조금은 애초 이달 말까지 제공할 예정이었으나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